나라별 와인의 종류와 특징------------------------------
◈ 독일 와인의 특징
독일 와인의 역사는 기원전 100세기인 고대 로마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중세시대 수도원에서 아주 훌륭한 포도원들이 설립 되어 포도나무와 와인들을 극도로 신경을 써서 재배하고 취급하였는데 이러한 바탕이 고도로 발달한 독일 포도 재배학의 기준이 되었다.
1803년 교회 소유였던 포도원들은 나폴레옹이 라인지역을 정복할 때 개인 소유주들과 각 주 의 소유로 팔리면서 나뉘어 졌는데 현제까지도 이러한 포도원들과 와인들은 지속적인 발전과 명성을 가지고 있다.
와인 생산국으로는 가장 북쪽에 위치한 독일은 이세상에서 가장 사랑스러운, 가장 가벼운
그러면서도 가장 섬세한 화이트 와인들을 만든다.
알코올 도수는 낮으면서 절묘하게 발란스를 이루는 매력적이고도 미묘한 뉘앙스를 주는 와
인들이다. 다른 와인 생산국에서도 같은 포도품종인 리즐링을 재배하여 같은 와인들을 만들
려고 노력을 했으나 단지 흉내에 그쳤다.
즉, 독일 와인의 유일하고도 독특한 성격을 이루는 다른 중요한 요소들이 있다면 이것은 토
양의 구조와 기후가 될 것이다.
독일에서 생산된 와인들은 비록 계열의 유사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아주 다양하다. 라인지
역 와인에서 모젤지역 와인까지의 미묘한 차이 혹은 리즐링에서 실바나까지 혹은 단순한 테
인블 와인에서부터 늦게 수확된 와인들 까지 독일 와인들의 특별한 성격을 평가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맛을 보는 것이다.
▣ 독일의 와인 지역들
아르(Ahr)
본(Bonn) 남쪽에서 라인강으로 흐르는 아르(Ahr)강을 따라가면 독일의 아주 작은
잘 알려지지 않은 와인지역을 만나게 된다. 아르(Ahr)는 슈페트버건더(피노누아)와
포트기저(Portugieser)로 잘 알려져 있다. 이 둘은 레드와인 포도 품종으로 가벼우면
서 우아한 신선함을 준다. 현제로는 이 지역에서 생산되는 와인들은 거의 이 지방에서
소비되지만 다른 지역에서 종종 높은 가격으로 판매가 되기도 한다. 대체적으로 이
지방에서 생산된 피노누아는 버건디나 다른 새로운 나라에서 생산되는 와인보다 더
가벼운 맛을 주는 편이다.
포도 생산면적 : 632 ha (ca. 1,400 acres)
포도품종 : 슈페트버건더(Spatburgunder)52%, 포르투기저(Portugieser)18%, 뮬러뚜르가우
(Muller-Thurgau)11% , 리즐링(Riesling) 9%
중앙라인(Mittelrhein)
중세 고성과 유적지가 있는 아름다운 풍경이 있는 가파른 테라스형식의 포도원 안으로 들어
가면 중앙라인 지방을 발견하게 된다. 본(Bonn) 아래쪽으로부터 시작해서 60마일 남쪽 라인강둑으로 연결되어있는 이 지역은 가파른 경사면에서 자라고 있는 포도품종들로 잘 알려져 있다. 점토질의 토양은 생동감 있는 상큼한 와인들을 만들어 낸다. 리즐링이 이 지방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데 거의 국내에서만 소비가 된다.
포도 생산 면적 : 662 ha (ca. 1,500 acres)
포도 품종 : 리즐링(Riesling) 75%, 뮬러뚜르가우(Muller-Thurgau) 8%
모젤-잘-루베(Mosel-Saar-Ruwer)
트레에(Trier)라는 고대 로마 도시 남쪽으로부터 라인으로 들어가는 코블렌쯔(Koblenz) 북쪽지역까지 연결된 모젤강은 험준하고 비탈진 경사면으로 연결되어 있는 이 곳에는 전 세계에서 최고의 품질을 인정해주는 유명한 리즐링 와인들이 생산되는 포도원들이 모여 있다.
모젤과 그 주변에 있는 잘 그리고 루베의 와인들은 풍부한 향, 옅은 색에서 짙은 황금색, 가벼운 바디와 함께 생동감과 신선함이 있는 과일 맛이 특징이다. 점토질 토양은 섬세한 과일 맛에서 완고한 맛까지 뚜렸한 맛의 차이들로 구분된다.
포도 생산 면적 : 12,809 ha (ca. 28,000 acres)
포도 품종:리즐링(Riesling) 54%, 뮬러뚜르가우(Muller-Thurgau) 22%, 엘블링(Elbling) 9%
라인가우(Rheingau)
독일의 가장 중심적인 와인 생산지역이고 전 세계적으로 가장 오랜 전통을 가지고 와인을
생산하는 가족 단위의 생산자들이 많다. 라인가우 지역은 북쪽 타우너스 언덕(Taunus Hills)의 무성한 숲의 긴 언덕중턱에서부터 남쪽으로 뻗어있는 라인강의 경계선까지 뻗어있다.
강이 있어 토양은 많은 점토로 이루어져 있고 지중해성 기후는 조밀하면서도 풍부한 향을
가진 우아한 와인들을 생산한다. 이곳은 유명한 수도원과 포도원들이 있는데 섬세하고도 훌
륭한 와인들이 재배가 된다. 슈페트버건더(피노누아)와 같은 바디가 강한 와인들도 이곳에서 생산이 되는데 특히 아스만하우젠(Assmannshausen) 주변 포도원에서 많이 생산된다.
포도 생산 면적 : 3,288 ha (ca. 7,250 acres)
포도 품종 : 리즐링(Riesling) 81%, 슈페트버건더(Spatburgunder) 8%
나헤(Nahe)
독일에서 가장 경치와 좋은 곳으로 훌륭한 와인 품질을 자랑한다.
라인헤센 지역과 가까운 종류의 포도품종을 만드는 모래와 같은 토양들로부터 꽃 향기가 있
는 모젤 와인들을 만드는 슬레이트 토양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토양을 함유하고 있어서 생
기 있는 과일 맛과 잘 결합된 약간 매운듯한 복잡미묘함은 이 나라 어디에서도 발견할 수
없는 독특함을 가지고 있다.
포도 생산 면적 : 4,665 ha (ca.10,250 acres)
포도 품종 : 리즐링(Riesling) 26%, 뮬러뚜르가우(Muller-Thurgau) 23%, 실바너(Silvaner)11%
팔쯔(Pfalz)
단순하고 저렴한 와인들이 대량으로 생산되는 지역으로 잘 알려져 있는 팔쯔지역은 최근들
어 높은 품질의 포도들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젊고 높은 교육을 받은 신세대 와인 제조자들은 조밀하고 힘이 있는 와인들을 전 세계인이
요구한다는 것을 인식하여 이 지역에서는 와인의 생산 방향을 다르게 돌리고 있다.
팔쯔 지역은 독일에서 가장 많은 양의 와인을 생산하는 곳이다. 그리고 많은 조그만 제조업
자들이 품질에 힘을 쏟기 시작하여 뛰어난 품질의 와인을 생산하는 지역으로 새롭게 변신하
기 시작했다.
포도 생산 면적 : 23,804 ha (ca. 53,000 acres)
포도 품종 : 리즐링(Riesling) 21%, 뮬러뚜르가우(Muller-Thurgau) 21%, 켈러(Kerner)10%, 포르
투기저(Portugieser) 9%, 실바너(Silvaner) 8%, 슈레베(Scheurebe) 6%
라인헤센(Rheinhessen)
나헤강과 라인강을 경계로 하여 언덕으로 조용히 둘러싸인 깊은 계곡 안에 놓여있는 라인헤
센 지역은 독일에서 가장 큰 규모로 포도가 재배되는 지역이고 생산량은 두 번째로 많다.
이곳에서는 다양한 날씨와 지형으로 많은 종류의 레드와 화이트 포도품종들이 재배되며 섬
세한 향기와 중간정도 바디의 와인들이 생산된다. 라인프론트(Rheinfront) 혹은 라인테라세(Rheinterrasse)들은 니어슈타인(Nierstein) 마을 근처 라인 강을 정면으로 바라보는 완만한 경사면에 있는 포도원들의 이름이다. 이곳에서는 독일에서 가장 훌륭한 와인들, 특히 리즐링 포도품종으로 만든 와인들이 많이 생산된다.
포도 생산 면적 : 26,372 ha (ca. 58,000 acres)
포도 품종 : 리즐링(Riesling)9%, 뮬러뚜르가우(Muller-Thurgau)23%, 켈러(Kerner)8%, 실바너(Silvaner) 13%, 바쿠스(Bacchus) 8%
프랑켄(Franken)
독일 전체와인 중 가장 남성적인 힘이 있으면서도 부드러운 독일 와인들을 프랑켄 지역에서
발견할 수 있다. 뷰루쯔버그(Wurzburg)가 가장 대표적인 도시인데 프랑켄 와인의 대명사가되는 슈타인와인(Steinwein)이 생산되는 그 유명한 포도원이 있는 도시이다.
이 와인들은 전통적인 복스보이텔(Bocksbeutel)이라고 하는 둥근모양의 녹색 포도주병을 쓰며 힘이 있는 남성적인 와인으로서의 명성을 얻었다.
포도 생산 면적 : 6,078 ha (ca. 13,300 acres)
포도품종:뮬러뚜르가우(Muller-Thurgau)46%,실바너(Silvaner) 20%, 바쿠스(Bacchus) 11%
뷰템베르그(Wurttemberg)
뷰템베르그 지역 주민들은 오랜 기간동안 그들만의 와인을 비밀처럼 지니고 왔다. 자신들의
와인들을 외부로 나누어 주기 보다는 대부분을 자신들을 위해 소비해 왔다.
그곳 지방 술집들을 가보면 현저하게 과일 맛이 강하고 독특한 레드와인들과 힘이 있고 풍
부한 맛의 화이트 와인들을 경험할 수 있다. 뷰템베르그(Wurttemberg)는 독일에서 가장 큰레드와인 생산 지역이고 이 지역의 거의 반 정도가 레드와인 포도 품종들이 재배되고 있다.
포도 생산 면적 : 11,204 ha (ca. 24,650 acres)
레드와인 포도품종 : 트로링거(Trollinger) 22%, 검은 리즐링(Schwarzriesling) 16%, 렘버거(Lemberger) 6%
화이트와인 포도품종- 리즐링(24% Riesling) 24%, 켈러(Kerner) 9%, 뮬러뚜르가우(Muller-Thurgau) 9%
바덴 (Baden)
“검은 숲”으로 유명한 바덴지역은 독일에서 3번째로 큰 와인 생산지역이고 인기있는 로제
와인 슈페트버건더 바이쓰헵스트(Spatburgunder Weissherbst)의 본 고장이기도 하다.
자갈, 석회암 그리고 진흙에서 화산석까지 다양한 토양은 다양한 향기가 있는 포도가 자라
도록 도와준다. 바덴의 따뜻한 기후와 토양은 독일은 그 어떤 지역 보다도 더 국제적인 향
기로운 와인을 생산하게 하는 것이다. 특히 화산석은 레드 와인 슈페트버건더(피노누아)를 꽉찬 바디와 다른 곳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짜릿한 맛을 준다. 한가지 재미있는 것은, 독일에서 일인당 일년 와인 소비량은 평균 32병 정도인데 바덴 지역에 주민들은 일년에 평균 53병 정도 마신다고 한다.
포도 생산 면적 : 16,371 ha (ca. 36,000 acres)
포도품종:뮬러뚜르가우(Muller-Thurgau)33%, 슈페트버건더/피노누아(Spatburgunder/Pinot
Noir) 26%, 그라우버건더/피고그리(Spatburgunder/Pinot Noir) 9%, 구테델(Gutedel) 9%, 리즐링/클링겔버거(Riesling/Klingelberger) 8%
▶ 독일에서 생산되는 주요 포도 품종들과 어울리는 음식들-------
화이트 와인 포도 품종
뮬러 뚜르가우(Mueller Thurgau)
리즐링(Riesling)과 구테델(Gutedel)을 접목시킨 포도 품종으로 1882년에 개발되었다. 오늘날에와서는 독일에서 가장 폭 넓게 재배되고 있다. 이 와인은 꽃 향기가 나며 적당한 산미가 있는 조기에 익은 와인이다.
리즐링(Riesling)
독일에서 최고의 화이트와인 포도품종이다. 리즐링은 향기롭고 우아한 와인들로 상쾌한 신
맛이 있다. 리즐링의 상큼한 맛으로 인해 넓은 범위의 음식들과 쉽게 잘 어울린다.
실바너(Silvaner)
이 포도품종은 리즐링이나 뮬러뚜르가우 보다 더 바디(Body)가 있는 편이며 향기가 덜 강하다. 산도는 중간정도이다. 결론적으로, 실바나는 너무 향이 강하지 않은 풍미있는 음식들과 잘 어울리는데 예를들면 순한 향의 생선요리, 닭고기, 송아지 고기와 가벼운 소스가 있는 돼지고기 요리이다.
켈러(Kerner)
새로운 포도품종으로 레드와인인 트로링거(Trollinger)와 리즐링(Riesling)을 교접하여 개발된 품종이다. 이 와인들은 일반적으로 리즐링보다 풍미가 강하고 상쾌한 신맛이 있다. 풍부한 맛의 음식들과 잘 어울리는데 소시지, 돼지고기와 햄에 특히 잘 어울린다.
슈레베(Scheurebe)
실바너와 리즐링을 교접하여 개발된 향기로운 품종으로 과일 맛이 강하면서 산뜻하고 리즐
링 보다는 약간 더 바디가 강(Full Body)하다. 슈레베 와인들은 리즐링과 어울리는 음식으로 모두 좋다.
그라우버건더(Grauburgunder)/피노그리(Pinto Gris)와 룰렌더(Rulander)
이 와인들은 피노그리와 같은 포도품종으로 만든다. 단맛이 덜한 드라이한 유형의 포도품종
들은 그라우버건더(Grauburgunder) 혹은 피노그리(Pinto Gris)의 이름으로 라벨이 붙여진다.
특히 팔즈 와 바덴지역에서 만들어 진다. 달콤한 스타일의 포도품종들은 룰렌더(Rulander)라는 이름으로 라벨이 붙여진다. 독일의 그라우버건더(Grauburgunder)와 룰렌더(Rulander)는 바디가 강한(Full Body)편이고 아주 향기가 짙다. 풍부한 맛의 돼지고기와 소고기 요리와 맛이 잘 어울린다.
바이쓰버건더(Weissburgunder )/피노블랑(Pinot Blanc)
바이쓰버건더(Weissburgunder )라는 이름으로 라벨이 붙여지는데 이 포도품종은 바디가 강하고 상쾌한 맛으로 주로 드라이하다 (생산자에 따라 달콤한 맛으로 만들어 지기도 한다). 드라이한 와인일 경우에는 송아지고기, 돼지고기, 닭고기류와 생선요리에 특히 잘 어울린다.
아우스레제(Auslese) 품질등급과 같은 달콤한 와인일 경우에는 매운맛이나 약간 달콤한 맛의요리들과 어울리는데 매운맛의 소시지, 민트소스가 곁들인 양고기류, 오렌지 소스가 곁들이 오리고기등과 잘 어울린다.
레드 와인 포도 품종
슈페트버건더(Spatburgunder)/피노누아(Pinot Noir)
독일산 레드와인 피노누아는 프랑스산과 비교해 좀더 가볍고 상괘한 맛이 난다. 결론적으로
향기롭고 진하지 않은 특성으로 여러 음식들과 잘 어울린다.
포트기저(Portugieser)
가벼운 스타일의 빨리 숙성하는 레드와인이다. 여러가지 음식들과 쉽게 마실 수 있는 포도
맛이 강한 와인이다. 부드러운 맛의 소시지와 돼지고기, 가벼운 소스가 곁들어진 송아지요리와 부드러운 맛의 치즈류와 잘 어울린다.
트로링거(Trollinger)
산뜻함이 잘 깔려있고 신선한 과일 향이 있는 풍미가 있는 와인이다. 순한 소고기 요리나
양고기 요리와 어울린다.
램버거(Lemberger)
포도 맛이 강한 중간 바디의 레드와인으로 적당한 산미와 중간 정도의 탄닌이 있다. 닭고기
구이, 그릴에 구운 소고기 요리와 송아지 요리에 잘 어울린다.
▣ 독일의 늦따기 와인---------------------------------
독일인들은 양질의 와인을 만들려고 오랜 기간에 걸쳐 무던히도 애를 써왔다. 그러나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등 지중해 연안국에 비해 기후가 한랭하고 음습하여 포도의 질이나 수확이 별로 좋지 않았다. 그래서 그들은 특별한 포도 재배 기술과 수확 방법을 연구했다. 그 결과 오늘날에는 라인가우(Rheingau)지역과 모젤 자르 루버(Mosel-Sarr-Ruwer) 지역의 특수 와인이 당당히 세계의 고급와인 대열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독일의 라인 계곡에 가면 겨울철인데도 주렁주렁 열린 포도송이가 하얀 눈으로 뒤덮여 있는 풍경을 흔히 볼 수 있다. 이것은 바로 포도의 늦따기(Spatle-se)기법으로서 이 기법은 발견된 후 최고급 스위트 와인을 만드는 고전적인 포도수확 방법으로 자리 잡았다. 보통의 포도는 풋포도에서 나오는 시고 약간 떫은맛이 포도가 익어 감에 따라서 사라지는데, 이 늦따기 포도로 제조한 와인은당도가 높으면서도 동시에 곰팡이로부터 유래된 향긋한 신맛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 한마디로 지극히 이상적인 와인이 만들어진 것이다. 이 밖에 잘 익은 포도송이만을 골라 따서 와인과 건포도 상태로 만든 와인, 그리고 포도송이가 얼
어버린 다음에 수확하여 만든 와인이 있다.
⊙ 페어베서테바인(개량된 포도주)
일조량 부족으로 포도수확이 좋지 않을 때에는 설탕을 첨가한다.
⊙ 나투어바인(천연포도주)
포도수확이 좋을 때 설탕을 첨가하지 않은 포도주
⊙ 아이스바인
늦가을 영하의 기온에서 얼어버린 포도로 만든 포도주
나이아가라의 아이스 와인은 제조법이 엄격하게 규제되어 있다. 기온이 섭씨 영하 10도 이하로 내려간 날이 3일 이상 지속되었을 때 포도를 수확해야 한다. 한 겨울에 수확한 포도는 냉동 건조되어 당도가 보통 포도의 2∼3배나 높고향이 아주 풍부하다고 한다. 그래서 아이스 와인은 나이아가라 지역의 특산품이되었고 가격도 다른 와인의 3∼5배 이상 비싸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품질이 워낙 좋아 공급이 달린다고 한다. 양조학이 상당히 발달된 후에 알려진 사실이지만 늦따기 기법은 두 가지 면에서 매우 과학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첫째는 포도송이가 자연 상태에서 얼고 녹으면서 바람으로 인한 수분의 증발이 일어나 냉동건조 효과로 인해 당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둘째는 포도 맛이 미묘하게 변화되고 발효에 참여하는 미생물 집단이 다양해진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 미생물들은 와인에 섬세한 맛과 향을 내게 한다. 이러한 현상을 가리켜 프랑스에서는 푸리튀드 노블레(Pourriture Noble), 독일에서는 에델포일레(Edelfaule), 영어로는 노블 롯(Noble Rot)이라고 부른다.
◈독일 와인 라벨 샘플---------------------------------
1. The Vintage : 빈티지
2. The Winery/Estate : 포도주 양조장/사유지
3. 사용된 포도의 종류 : 독일에서 생산되는 포도의 종류는 다양한데,
가장 잘 알려진 포도품종은 리즐링(Riesling), 뮬러뚜르가우(Muller-Thurgau) 실바나(Silvaner) 정도이고 이 라벨에서는 리즐링(Riesling) 품종을 쓴 것을 알수있습니다.
4. 품질 등급 : 이곳에서 독일와인 라벨을 이해하는데 가장 어려운 부분이지만 이제는
정확하게 아시게 될 테니까 걱정마시기 바랍니다.
♣ 독일 와인의 품질 등급 ♣----------------------------
독일 와인은 크게 일반적으로 타펠바인 (Tafelwein)이라는 보통 포도주로 일상적으로
독일내에서 생산이되고 소비가 되는 것이 있고 독일 란트바인(Landwein)이라고 하는
타펠바인은 생산지역에서 각기 특성 있는 포도주를 만들어서 국내에서 소비하는 것입니다.
여기에서는 특별히 정부에서 인정하는 고급 독일와인에 관한 표기를 설명하겠습니다.크게
고급 와인의 범주로 QbA(Qualitatswein bestimmter Anbaugebiete)가 있고 특정한 지역에서 생산되는 특별품질 표기가 된 QmP(Qualitatswein mit Pradikat) 가 있습니다.
① QbA (Qualitatswein bestimmter Anbaugebiete)
과실 향미가 화사하게 풍기는 가벼운 맛의 와인이다. 13개 생산 지역중 상호 혼용 없이
소속되어 있는 지역의 포도만을 가지고 생산하며 비교적 성숙시간이 짧은 시기에 마실 수
있는 지역 전통적인 맛의 와인 들이다.
② QmP (Qualitatswein mit Pradikat)
특별 품질 표기의 고급 와인(Qualitatswein mit Pradikat)으로 독일 와인 중 최고의 품질을
엄선하여 표기되어 진다. 우아하며 고상하고 지속적인 맛을 주고있는데 라벨에 이러한 품질
성숙도와 품질에 따라 6가지 등급으로 나뉜다.
→카비넷 (Kabinett)
충분히 익은 포도에서 생산되는 우아한 와인이다. 세상에서 가장 경쾌한 와인이다. 알코올
함량이 낮다.
→슈페트레제 (Spaetlese)
문자 그대로는 늦은 추수를 뜻한다. 충분히 성숙한 호도의 강도를 가진 균형 있고 잘
성숙된 와인이다.
→아우스레제 (Auslese)
완숙한 송이만을 수확하여 별도로 즙을 내어 와인을 만들어 기품이 있고 아름다운 향기가
풍부한 와인이다.
→베렌 아우스레제 (Beerenauslese)
초과 숙성한 포도알 만을 골라서 포도주를 만드는 것이다. 완숙한 과실맛과 때로는 꿀맛과
같은 포도주 이다. 이것이 소위 말하는 귀부 포도주이며 보트리티스(Botrytis) 균의 작용에서 생성되는 고귀한 포도주 이다.
→트로켄베렌 아우스레제 (Trockenbeerenauslese -TBA)
건포도가 될 정도로 마른 상태의 과립만을 골라서 만든 것으로 최고급의 맛과 향기가 있는
최고 걸작품이다.
→아이스 바인 (Eiswein)
베렌 아우스 레제급의 포도를 동결된 상태에서 수확하여 만들어진 와인이다. 과실의 산미와
고귀한 감미가 농축되어진 최고급 와인이다. 걸작품이다.
5. 재배된 포도원 : 재배가 되었던 포도원의 이름
6. 재배된 포도의 지방 : 많이 알려진 지역으로는 모젤-잘-루베어(Mosel-Saar-Ruwer),
라인가우(Rheingau), 팔즈(Pfalz), 라인헤센(Rheinhessen), 나헤(Nahe), 그리고 프란코니아
(Franconia) 가 있음.
7. VDP 로고 : 단지 QbA 와 QmP의 카테고리로 와인의 품질을 깨닿기가 힘들때가 있을
것이다. 이 독수리 모양의 VDP표시는 독일의 최고 엘리트 양조장의 멤버쉽을 상징하는
것으로 약 50,000 양조장 중에서 약 180 양조장이 이 VDP 멤버쉽 그룹에 속한다.
8. AP# (AP 식별번호)
◈프랑스 와인의 특징----------------------------------
프랑스의 와인 지역
▣ 보르도(Bordeaux) 지역
프랑스의 대표적인 와인 생산 지역 보르도는 프랑스 남서부 전지역에 위치한다. 100,000 헥타르가 넘는 넓은 포도원들이 있으며 년간 6억 병의 포도주를 생산하는 보르도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로 좋은 포도주를 생산하는 곳이다.
기후와 토양
보르도 지역에서 생산되는 와인의 우수한 품질은 토양, 기후와 포도나무의 설명할 수 없는 미묘한 상호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비옥하지 않은 토양이지만 거칠고 돌이 많아 배수가 잘 되기에 포도나무의 뿌리는 필요한 물과 양분이 흐르는 곳을 찾아 좀 더 깊숙이 토양을 파고 든다. 기후는 근처 아틀란틱 기후의 영향을 받아 봄과 가을에 서리가 내리는 위험이 있지만 적당하게 온화하다.
생산 되는 포도종류
레드와인 종류 :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까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멜로(Merlot), 말벡(Malbec) 과 쁘띠 베르도(Petit Verdot). 화이트와인 종류: 세미용( Semillon), 소비뇽 무스까델( Sauvignon, Muscadelle).
보르도 지역의 와인들
메독(Medoc): 오래 숙성 시키지 않고 빨리 마셔버리는 가벼운 맛의 레드와인.
오메독(Haut-Medoc): 바닐라향이 있는 레드와인.
생에스테프(Saint-Estephe): 어두운 색의 탄닌이 많은 레드와인으로 마시기 전에 숙성기간이 어느정도 필요한 레드와인.
뽀약(Pauillac): 강한 부케향이 있는 묵직하고 입안에 여운이 오래 남는 좋은 레드와인.
마고(Margaux): 부드럽고 은은한 부케향이 있으며 섬세하고 우아한 레드와인.
생쥴리앙(Saint-Julien): 힘이 있고 강한 남성적인 레드와인.
그라브(Graves): 강인하고, 복잡미묘한 향이 있는 생동감이 있는 화이트 와인 - 페삭 레오낭(Pessac-Leognan)이 최고의 포도원 중의 하나이다
생떼밀리옹(Saint-Emilion): 송로 향이 있는 강인하고 깊은 맛이 있는 짙은 붉은 색의
레드와인. 뽀므롤(Pomerol): 강인하고 묵직한 입안에 여운이 오래 남는 벨벳 색의 레드와인으로 아주 독특한 향이 있다.
프롱삭(Fronsac): 견고하고 묵직한듯한 레드와인으로 그 자체만의 매운 향이 있다.
꼬뜨드보르도(Cotes de Bordeaux): 활기차고 풍부한 포도 맛이 강한 진한 색의 레드와인이 있고 향기로운 드라이한 화이트 와인(꼬뜨드 블라이 그라브드베르Cotes de Blaye et Graves de Vayre)들이 있다.
보르도와 보르도 수페리어(Bordeaux and Bordeaux Superieur): 탄닌이 있으나 가벼운 맛이 잘 어우러진 레드와인들이 있으며 오래 숙성 시키지 않고 빨리 마시는 포도 맛이 강한 드라이한 화이트 와인들이 있다.
엉트르드메르(Entre-Deux-Mers): 화이트 와인들로 입안에서 느끼는 신선함이 어디에도 비교할 수 없이 강한 바디와 포도 맛이 조화를 잘 이룬다.
소테르네와 발삭(Sauternes and Barsac): 달콤한 화이트 디저트 와인들로 풍부한 맛의
부드러운 와인들이다.
▣ 버건디(Burgundy)/부르고뉴(Bourgogne) 지역
버건디(부르고뉴) 지역에는 2,00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포도원들이 있다. 서기 약 300년경, 갈로 로망시대에 한 로마 황제의 적극적인 진흥 정책으로 이 지역 포도원은 급속히 발전하였다. 중세에는, 이 지방의 성직자들과 영주들이 버건디 포도주를 프랑스와 유럽 전역에 알림으로써, 버건디 포도주는 오늘날의 명성을 얻게 되었다.
기후와 토양
버건디 지역은 기후에 따라 여러 지역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기 다른 포도원이나 제조원
명칭(appellation)을 가지고 있다. 이 지역은 여러명의 땅주인들이 나눠서 소유하고 있으며,
생산되는 와인의 품질은 토양의 질에만 의존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생산자의 기술에 많이
좌우가 된다.
생산 되는 포도종류
버건디 지역에서 생산되는 포도종류는 많지가 않다. 화이트 와인에는 샤도네와(Chardonnay)
와 알리고떼(Aligote ) 가 있고 레드와인에는 피노누아(Pinot Noir), 가메이(Gamay) 와 약간의 마콩(Macon) 정도가 있다.
버건디 지역의 와인들
샤블리(Chablis): 샤블리 와인은 오세르(Auxerre) 근처에 있는데 대부분이 샤도네 포도를
이용한 드라이한 화이트 와인들과 스파클링 와인 그리고 끄레망 드 부르고뉴 (Cremant de
Bourgogne) 가 생산된다.
꼬뜨 도르(Cote d'Or): 단지 두가지 포도품종으로 아주 좋은 꼬뜨드오 와인들이 있다: 레드
와인에는 피노누아가 있고 화이트에는 샤도네가 있다. 꼬뜨도오에는 3가지 원산지로 나뉘어
진다. 꼬뜨드뉘(The Cote de Nuits)는 풍부하고 깊은 맛의 레드와인들로 유명한데
샹베르뗑(Chambertin), 뮈지니(Musigny), 끌로드부죠(Clos-de-Vougeot) 혹은
로마네꽁띠(Romanee-Conti) 등이 세계적으로 최고 와인중의 하나 이다. 꼬뜨드본(The Cote de Beaune)에는 볼네(Volnay), 뽀마드(Pommard), 본(Beaune), 알록스꼬르똥(Aloxe-Corton) 등의 훌륭한 레드와인들이 생산되고 또한 버건디의 최고의 화이트 와인으로 몽라쉐(Montrachet), 뭬르소(Meursault) 그리고 꼬르똥샤를마뉴(Corton-Charlemagne)이 있다. 이 와인들은 아주 섬세한 향기를 가지고 있고 드라이하면서도 부드러우며 완전한 발란스를 이루고 있다.
오뜨꼬뜨(The Hautes Cotes)는 좀 더 단순하고 마시기 쉬운 레드와 화이트와인들을
생산한다.
꼬뜨 샬로네즈(Cote Chalonnaise): 좀 더 남쪽지역에 위치한 이 지역에서는 4가지
포도품종으로 와인을 생산하고 있는데 즉 피노누아(Pinot Noir), 가메이(Gamay),
샤도네(Chardonnay)와 알리고떼(Aligote )가 있다. 다섯개의 공동 자치단체 명칭들이 있는데 부르고뉴 알리고떼 부즈롱(Bourgogne Aligote-Bouzeron), 뤼이이(Rully), 메르쥐레(Mercurey), 지브리(Givry) 와 몽따니(Montagny)가 있다.
마꽁(Maconnais): 레드와 로제 마꽁와인들은 이론적으로는 가메이(Gamay) 포도품종으로
만들어 진다. 그런데 부르고뉴 빠스-뚜-그랭(Bourgogne Passe-tout-grains)이란 명칭을 가지고있는 와인은 피노누아와 혼합된 와인이다. 샤도네로 만들어지는 화이트 와인 생베랑(Saint-Veran)은 아주 섬세하고 향기로운 드라이한 화이트 와인이며 마꽁 빌라쥐(, Macon-Villages)는 드라이하면서 포도 맛이 강하고 무엇보다도 이 지역에서 가장 유명한 뿌이휘세(Pouilly-Fuisse)는 금빛녹색을 띠고있는 향기로우면서도 섬세한 맛의 드라이한 화이트 와인이다.
▣ 보졸레(BEAUJOLAIS) 지역
마콩남쪽 10km 부터 시작하여 60km 길이에 12km의 폭의 면적을 가지고 있는 보졸레
지역의 포도원들은 쏜(Saone)강 왼편의 넓은 계곡을 향한 동남서 지역의 경사진 언덕에
있다. 이 지역은 22,000 헥타르 정도의 생산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매년 평균 1,300,000
헥토리터의 와인들을 생산하고 있다.
기후와 토양
남쪽 지역인 바 보졸레(the Bas Beaujolais) 에 있는 토양들은 점토와 초크가 섞여있으며
오래 보관하지않고 신선할 때 마시는 와인들이 생산된다. 좀 더 북쪽으로 가면 화강암
토양이어서 좀 더 오래 숙성 시키고 보관할 수 있는 와인들이 더 많이 생산된다. 오
보졸레(Haut Beaujolais) 에서는 토양이 화강암, 암설, 반암과 편암으로 구성되어있어서
다육질의 와인들이 생산이 된다.
생산되는 포도 종류
보졸레 지역에서는 가메이(Gamay) 한 가지만 생산된다.
보졸레 지역의 와인들
보졸레와 보졸레 수페리어(Beaujolais and Beaujolais Superieur): 보라빛의 가볍고 생기차고 마시기 쉬운 포도맛으로 강한 와인으로 숙성시키지 않고 신선할 때 마시는 와인이다.
보졸레 빌라쥐(Beaujolais-Villages): 좀 더 오래 보관할 수 있는 와인으로 바디가 강한 편이다.
끄뤼드 보졸레(Crus du Beaujolais): 다육질이고, 관대하고, 심지어는 바디가 강한 아주 좋은 레드 와인들이다. 10가지 보졸레 끄뤼가 있다. : 부루이이(Brouilly), 꼬뜨드 브루이이(Cote de Brouilly), 모르공(Morgon), 쉬루블르(Chiroubles), 플뢰리(Fleurie), 쥴리에나(Julienas), 물랭아빙(Moulin-A-Vent), 쉐나스(Chenas), 생따무르( Saint-Amour) and 레니에(Regnie).
▣ 론 벨리(RHONE VALLY)
꼬뜨뒤론(the Cotes du Rhone) 지방과 비엔느(Vienne)로부터 아비뇽(Avignon)까지 200KM이상 뻗어있는 위성도시는 양쪽에 론 강을 끼고 있다. 꼬뜨드론은 약 58,0000 헥타르의 AOC급의 와인들을 생산하는 포도원들로 뒤덮여 있으며 평균 3,000,000 헥토리터의 레드, 로제 그리고 화이트 와인들이 생산된다.
기후와 토양
이 지역은 두개의 뚜렸한 영역으로 구분이 된다. 북부 꼬뜨뒤론의 포도 재배환경은 특별히
어렵다. 이 포도원들은 아주 가파른 경사면에서 포도나무를 심기 때문에 테라스가 없이는
포도가 자라기 힘들 정도이다. 토양은 화강암과 편암들로 구성되어 있다. 꼬뜨뒤론의 남부지역에 있는 토양은 모래이거나 백악질의 석회석으로 많은 조그만 다양한 조약돌로 이루어져 있다. 낮에는 조약돌이 태양열을 흡수하고 밤에는 다시 포도에게 그 열을 돌려준다. 그래서 와인의 알코올이 높아지는 결과를 준다.
생산되는 포도 종류
레드와 로제와인 종류 : 쉬라(Syrah), 그리나쉐(Grenache), 무르베드르(Mourvcdre),쌩소(Cinsaut).
화이트 와인 종류: 마르싼느(Marsanne), 로싼느(Roussanne), 비오니에(Viognier), 삑뿔(Picpoul), 부르블랭끄(Bourboulenc), 끌레레뜨(Clairette).
론벨리 지역의 와인들
꽁뜨리외(Condrieu) 와 샤또그리에(Chateau-Grillet): 독특한 향이 있는 화이트 와인
쌩뻬레(Saint-Peray): 스파클링 와인
꼬뜨로띠(Cote Rotie) 와 꼬르나스(Cornas): 숙성하기 좋은 잘 구성된 레드 와인
끄로즈 에르미따쥬, 쌩죠제프(Crozes-Hermitage) 와 에르미따쥬(Hermitage): 강건하고, 풍부한 맛의 레드와인이다. 적은 수량의 아주 좋은 화이트 와인들도 있다.
끌레레뜨 드 디(Clairette de Die): 가벼운 화이트 와인으로 포도 부케향과 더불어 기분좋은
향미를 가지고 있다.
꼬뜨드론 빌라쥐(Cotes du Rhone-Villages): 진한 맛의 레드와인이다.
꼬뜨뒤론(Cotes du Rhone): 뛰어난 품질의 레드, 화이트 그리고 로제와인들이 있다.
따벨(Tavel) 과 리락(Lirac): 뛰어난 명성을 자랑하는 로제 와인
샤또네프뒤파프(Chateauneuf-du-Pape): 완고하고 강건하며 완전한 발란스를 이루는
레드와인으로 13가지의 다른 포도 품종으로 만들어 진다. 그리고 드믈게는 미묘한 부케향의
화이트 와인을 생산하기도 한다
지공다스(Gigondas): 풍부하고 강한 바디를 가지고 있는 레드 와인
꼬뜨뒤트리까스땡(Coteaux du Tricastin), 꼬뜨뒤벙뚜(Cotes du Ventoux) 와
꼬뜨뒤뤼베롱(Cotes du Luberon): 잘 구성된 강한 바디의 레드와인들로 토양의 냄새가 난다.
▣ 샴페인(CHAMPAGNE)지역
프랑스 남부에 있는 라임(Reims)근처에 샴페인 지역이 위치하고 있다. 약 26,000 헥타르의
면적과 년 평균 1,900,000 헥토리터의 와인을 생산하는 지역이다.
기후와 토양
샴페인 지역의 토양은 대부분이 초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작 할 수 있는 상층토가 1미터도 되지 않는다. 기후는 많은 차이를 주고 있는데 온화한 아틀란틱 기후와 몇 개의 대륙성
기후조건으로 계속 바뀐다. 주변의 산림으로 인한 습기와 나무들이 환경을 서늘하게 만든다.
생산되는 포도 종류
샤도네(Chardonnay), 피노누아(Pinot Noir), 피노 메뉴어(Pinot Meunier).
샴페인 지역의 와인들
샴페인 지역은 일괄성이 있고 유일한 독특성을 가지고 있다. 아주 엄격한 포도원의 규칙과
포도주 제조법, 숙성법 그리고 마아케팅법을 가지고 있다. 로제 혹은 핑크빛 샴페인도
있지만 주로 레드 샴페인 와인을 블렌딩하거나 레드포도로 로제 포도주 제조 과정에 의한
것으로 통용된다. 이 지역은 작은 양의 화이트 레드 와인 꼬또 샹쁘누아(Coteaux
champenois)들을 생산하고 리쎄(Riceys) 지방에서는 피노누아로 강한 향기의 로제와인을 생산한다.
▣ 프랑스의 보르도(Bordeaux)와 부르고뉴(Bourgogne) 와인
보르도(Bordeaux)와 부르고뉴(Bourgogne)는 명성에 걸맞은 뛰어난 자연 조건을 지니고 있다. 이 두 지역은 공히 수확기에 일조량이 많으며, 배수가 뛰어 난 사력질 토양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와 토양 조건은 포도와 와인의 품질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보르도와 부르고뉴 지방에는 샤토(Chateau)가 잘발달되어 있다. 샤토란 원래 성곽이나 장원의 대저택을 말하는 용어이나 오늘날에는 와인과 관련하여 포도원을 뜻하는 말로 쓰이고 있다. 보르도 지방에는 약3,000여개의 샤토가 있다. 역사가 깊은 샤토에서는 성곽과 조화를 이룬 아름다운 포도원이 관광객의 발길을 멈추게 한다.
⊙ 보르도 와인의 특징과 명산지
보르도 와인은 단일 품종의 포도로 제조되는 일은 거의 없다. 두 가지 이상
의 포도가 혼합되어 복잡 미묘한 풍미가 탄생된다. 그러므로 포도 품종의 이
름을 상품명으로 사용하는 일은 거의 없고 생산지역이나 샤토의 이름을 상품
명으로 사용한다.
1. 메독(Medoc)
세계 최고의 와인 산지. 주로 레드 와인을 생산하며 바메독과 오메독 지
역으로 나뉜다.
오메독의 마르고(Margaux), 생쥘리앙(Saint Julien), 포이악(Oauillac),
생테스테프(Saint Estephe), 몰리(Moulis), 리스트락(Listrac)의 6개 마
을의 와인이 특히 우수하여 A.O.C 명칭을 붙일 수 있다.
2. 그랑 크뤼 클라세(Grand Cru Classe-1885)
샤토의 등급. 메독에는 전통적으로 A.O.C와인을 생산하는 포도원, 즉 샤
토의 등급이 1등급에서 5등급까지 정해져 있다. 1855년 파리 박람회부터
적용되었으며, 그랑 크뤼 클라세는 아직까지 적용하고 있다.
1등급에 속하는 샤토는 다음과 같다
- 샤토 라피트 로쉴드(Chateau Lafite Rothschild)
- 샤토 라투르(Chateau Latour)
- 샤토 마르고(Chateau Margaux)
- 샤토 무통 로쉴드(Chateau Mouton Rothschild)
- 샤토 오브리오(Chateau Haut Brion)
3. 그라브(Graves)
그라브라는 이름은 자갈이라는 뜻으로 이름 그대로 이 지역은 자갈이 많
은 토양이며 그것도 포도재배에 이점이 되고 있다. 레드와 화이트 모두
생산한다. 화이트 와인은 강하고 풍부한 맛을 내는 세미용과 신선하고 산
도가 강한 소비뇽 블랑 품종을 주로 사용하여 쌉쌀하고 뒷맛이 달콤하다.
4. 소테르느(Sauternes)
세계적으로 뛰어난 달콤한 맛의 화이트 와인을 생산하는 지역. 이 지역
와인의 특징은 포도를 늦게까지 수확하지 않고 포도에 곰팜이가 끼게 한
후 수확하여 와인을 만든다는 점이다. 이렇게 하면 포도의 당분 함량이
높아져 천연의 단맛과 향기가 뛰어나다.
5. 포므롤(Pomerol)
포므롤은 도르도뉴 강 오른쪽의 작은 지역이다. 생산량도 적으나 품질이
뛰어나 희소가치로도 이름이 나 있다. 숙성기간이 비교적 짧아 온화하고
신선한 맛을 갖는다. 이 지역 와인 중 샤토 페트뤼는 보르도 와인 중에서
가장 값이 비싼 것으로 유명하며 샤토 라투르, 샤토 라피트 등과 함께 보
르도 8대 와인으로 일컬어진다.
6. 생테밀리옹(Saint Emilion)
메독, 포므롤과 함께 레드 와인 3대 명산지중의 하나. 멜로품종의 포도를
주로 사용하여 색깔이 짙고 힘찬 와인을 생산한다. 아름답고 고풍스런 풍
경이 유명한 곳으로 4세기경부터 이곳의 와인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생테밀리옹의 샤토는 1955년에 등급이 정해졌고 그 이후 약간 수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메독의 그랑크뤼 1등급 수준에 비견되는 곳은 샤토
오손느(Chateau Ausone)와 샤토 쉬발 블랑(Chateau Cheval! Blanc)등이다.
⊙ 부르고뉴 와인의 특징과 명산지
최상의 화이트 와인을 만드는 포도로 알려진 샤르도네(Chardonnay)를 가지고
제조하는 샤블리(Chablis)와 비어건디(Burgundy)등 뛰어난 화이트 와인이 생
산된다.
1. 코트 디오르(Cote d'Or)
영어로 황금 언덕인데 가을 포도밭의 노란 단풍 색깔에서 유개된 것으로
언덕길을 따라 길게 뻗어 있는 세계적인 와인 산지의 표본이라 할 만한
지역이다. 이곳의 와인 생산량은 메독의 3분의 1정도인데 해마다 공급이
달려서 예약을 해야만 살 수 있을 정도로 인기가 높다
화이트 와인으로 유명한 코르통 샤를 마뉴(Corton-Charlemagne)와 레드
와인으로 유명한 샹베르탱이 있다.
2. 샤블리(Chablis)
부르고뉴의 여타 와인 산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나 예로부터 부르고뉴
와인단지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이곳의 와인은 섬세한 신맛과 신
선하고 깨끗한 과일향이 특징이며, 이곳은 실로 세계 최고의 화이트 와인
산지로 자리 매김 되고 있다.
유명한 포도원으로는 레 클로(Les Clos), 블랑쇼(Blanchots)등이 있다.
3. 마코네(Maconnais)
마콩(Macon)시와 붙어 있는 지역으로 와인의 맛은 가볍고 신선하다. 마코
네 지역의 와인은 비교적 값이 싼 데 비해 품질은 우수하다. 마콩의 푸이
푸셰(Pouily-Fuisse)는 품질이 뛰어나고 가격도 비싸다.
4. 보졸레(Beaujolais)
부르고뉴 지방 와인 생산량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이곳의 토양은 배수
성이 그다지 좋지 않아 포도 자체의 아로마는 그다지 좋지 않은 편이다.
그 때문인지 보졸레 지역의 와인 생산업자들은 과감하게 전통적인 방법에
서 탈피하여 포도의 품종과 발효방식을 현대적인 다산성 방식으로 바꾸고
판매에 있어서도 '보졸레 누보(새로운 보졸레)'라 하여 최단 기간 내의
배달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
}}◈프랑스 와인 라벨 샘플
♣ 프랑스 와인의 품질 등급 ♣
프랑스 와인 라벨을 보면 4 등급으로 분류가
됩니다.
1. AOC (Appellation d'Origine Controle)
때로는 AC 라고 일컬어 지는데 프랑스
와인의 제일 높은 등급으로 생산 지역, 포도
품종, 단위 면적당 최대 수확량등의 엄격한
법규로 인해 그 품질이 항상 보장된다.
2. VDQS (Vin Delimites de Qualite Superieure)
AOC 포도주보다 낮은 범주에 속하나, 원산지 명칭 협회의 엄격한 규제와 감시아래
생산된다.
3. 뱅드 빼이(Vin de Pays)
질적으로 뱅드 따블 (Vin de Table) 보다 우수하다고 볼 수있다.
4. 뱅드 따블 (Vin de Table)
매일 마실수 있는 일상적인 와인으로 일반적으로 여러 지방의 포도주 원액을 혼합하여
생산함으로서 일정한 스타일을 유지한다.
◈이태리 와인의 특징
이태리는 세계에서 와인 생산국으로 가장 중요한 지역중의 하나 이다.
와인을 생산하는 예술적인 기술은 수세기 동안 발전되어 왔다. 와인의 향기와 맛의
다양성은 믿기지 않을 정도로 광범위 하고 포도가 재배되는 지형적인 위치에 따라 중요한
연관을 가지게 된다. 북서부 지역(피드몬트 Piedmonte 지역)은 주로 강한 맛의 레드와인들이 생산되고 반면에 동쪽으로 가게 되면 롬바디아(Lombardia)에서는 아주 가벼운 맛의 와인들을 발견할 수가 있다. 이태리 북동부 지역에서는 화이트 와인들이 생산된다. 최고의 이태리 화이트 와인이 생산되는 지역으로는 트리베네또(Triveneto) 지역이 있는데 레드와인(까베르네,멜로등)도 잘 알려져 있다. 이 지역의 대표적인 와인으로 화이트 스파클링 프로세꼬(Prosecco)가 있다. 아주 높은 품질의 화이트 디저트 와인들로는 또르꼴라토(Torcolato), 아키니 노빌리(Acini Nobili)등이 이에 속한다. 플로렌스(Florence) 남쪽지방으로 가면 레드 와인으로 유명하다
-전세계적으로 끼안띠(Chianti)로 잘 알려져 있다. 로마지역에서는 화이트 와인 까스뗄리
로마니(Castelli Romani)와 같은 와인이 대표적으로 생산된다.
남쪽으로 갈수록 와인들은 좀 더 강한 맛을 준다. 이태리 남부지역은 강한 레드와인과
유명한 디저트 와인들로 유명한데 마르살라(Marsala), 그레코(Greco)등이 이에 속한다. 또한 사르디니아(Sardinia) 섬에는 그들 특유의 와인 전통이 있다. 사르디니아(Sardinia)의 가장 유명한 와인으로는 베르나치아(Vernaccia)가 있는데 강한 맛의 화이트 와인이다.
이태리의 와인지역
▣ 피드몬트(Piedmont) 지역
피드몬트(Piedmont) 지역은 무엇보다도 바롤로(Barolo) 와 바바레스꼬(Barbaresco) 레드
와인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이 지역의 최고의 와인은 화이트로 달콤하면서도 탄산이 있는
사람들이 폭 넓게 좋아하는 아스띠(Asti) 이다.
급속도로 발전하는 피드몬트의 와인들은 자연 포도로 만들어 지는 것으로 분류된다. 게다가
바롤로(Barolo), 바바레스꼬(Barbaresco), 가띠나라(Gattinara) 와 게메(Ghemme)는
네삐올로(Nebbiolo)가 주요 포도품종으로 모두 DOCG등급이다. 바베라(Barbera)는 감미롭고 부드러운 맛의 돌체또(Dolcetto) 다음으로 인기있는 레드와인용 포도품종이다.
브라체또(Brachetto)는 브라채또 아퀴(Brachetto d'Acqui)로 DOCG등급의 향기롭고 거품이 있는 레드와인을 만든다.
이 피드몬트 지역의 3.219.000 헥토리터 의 41% 가 DOC 지역에서 생산된다.
피트몬트지역에서는 13 DOCG 지역에서 4곳이 잘 알려져있다. 이 4곳은 아스티 (Asti
Spumante e Moscato D'Asti), 바바레스꼬(Barbaresco), 발롤로(Barolo) 그리고
가티나라(Gattinara) 이다.
▣ 토스카나(Toscana/Tuscany)지역
플로렌스(Florence) 지역은 이태리에서 고급 와인들을 가장 활기차게 생산하는 생산자들이
통합된 지역으로 끼안띠(Chianti)는 수세기 동안 인기를 끌었다. 토스카나 와인에 있어서의
현대적인 르네상스시대는 시에나(Siena)와 플로렌스(Florence)주변 중앙언덕에 위치한
끼안띠에서 시작하였다. 그러면서 급속도로 지중해 연안을 따라 알려지지 않았던
포도원까지 퍼지게 되었다.
전통 레드와인을 만드는 많은 발전이 상지오베제 포도품종에서 이루어졌다. - 끼안띠,
부루넬로 디 몬탈치노(Brunello di Montalcino) 와 까르미그나노(Carmignano) - 모두 DOCG
등급의 와인들이다.
모든 다른 레드와인 품종들(특히 "슈퍼토스카나(Super Tuscans)"으로 알려진 DOC등급이
아닌 와인들)의 성공적인 재배로 그 지역의 명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새로운 화이트
품종을 생산하는 것을 증가하였다. 끼안띠는 여전히 토스카나지역 포도주 제조에 있어서
우세한 힘을 가지고 있으며 이태리 최고 와인으로 평가 되고있다. 이 와인은 가장 많은
수량으로 생산이 되며 아주 넓은 범위로 팔리고 있다.
토스카나 와인 생산은 약 2.7 백만 헥토리터 정도가 된다. (1 헥토리터 = 100 리터). 매해
DOC 지역에서 46%. IGT 지역에서 30-35% 가 생산이 되는데 이는 대부분이 아주 높은 품질, 오랜 전통, 정확한 실험법과 빈티지 선택들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가 되겠다.
토스카나에 있는 DOCG급 와인 지역:
부루넬로 디 몬탈치노(Brunello di Montalcino),
까르미그나노(Carmignano) ,
끼안띠 클라시코 (Chianti Classico),
꼴리 피오렌티니(Colli Fiorentini),
루피나 몬탈바노(Rufina, Montalbano),
꼴리세네시(Colli Senesi),
꼴리아레티니(Colli Aretini),
꼴린피사네(Colline Pisane),
베르나치아 디상 치미그나노(Vernaccia di San Gimignano),
비노 노빌레 디 몬테풀치아노(Vino Nobile di Montepulciano)
◈이태리 와인 라벨 샘플
모든 이태리 와인 라벨들은 와인의
상품명과 품질등급((Vino da tavola,
Indicazione Geografica Tipica, DOC, DOCG),
생산자의 이름과 지역, 알코올 % 그리고
용량 등이 표기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DOCG 와 DOC 와인들에게는
빈티지 년도가 표기되어야 합니다.
예전부터 알려진 DOCG 등급으로 분류된 지역으로는 바바레스꼬(Barbaresco), 바롤로(Barolo),
몬탈치노(Brunello di Montalcino), 몬테풀치아노(Vino Nobile di Montepulciano) 그리고 끼안띠(Chianti)가 있으며
주변에 20정도의 지역들이 더 있습니다.
♣이태리 와인 등급 피라미드♣
DOCG(Denominazione di Origine Controllata e Garantita)는 최고의 품질이 생산되는 와인
지역으로 인정 됩니다. 많은 상품에 제한을 주는 등 심사기준이 까다로운 편인데
부분적으로 두드러진 독자적인 우수한 와인들은(즉, "super Vini di Tavola"라고 하는 와인들)
모두 DOCG 품질 등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 아래 품질 단계가 DOC 인데 이 와인들은 지속적으로 높은 품질을 유지하는 와인들에게
부여 됩니다. 이러한 와인들은 와인의 품질에 따라 DOCG등급으로 상향 조정될 수도
있습니다.
새롭게 나온 IGT (Indicazione Geografica Tipica)등급은 아직 까지는 잘 사용되고 있지 않아서
이러한 등급표기가 있는 와인을 찾기가 좀 힘듭니다.
피라미드의 가장 아래 부분을 광범위하게 차지하는 VdT(Vino da Tavola) 와인들은 대부분이
아주 평범한 와인들로 광범위합니다. 무척 혼란스러운 것은, 이러한 등급의 와인들에도 슈퍼
스타급의 좋은 와인들이 있다는 것이죠.
▣스페인 와인
이탈리아만큼 역사가 깊고 8세기경 이슬람 교도들이 스페인을 지배할 때
소아시아의 다양한 포도 품종이 유입되었다. 스페인을 지배할 때 소아시아의 다
양한 포도 품종이 유입되었다. 스페인은 이탈리아와 마찬가지로 기후와 토양 조
건이 적절하여 전국적으로 포도가 재배되며, 테이블 와인에서 강화 와인, 스파
클링 와인(에스프모소)까지 다양한 와인을 생산하고 있다. 주산지는 북부의 리
오하를 비롯하여 중부 내륙의 고원 라만차(La Mancha)지역, 그리고 북동부 해안
의 페네데스(Penedes)지역이다.
⊙ 헤레스 지방
쉐리산업의 중심지이다. 쉐리는 이곳 지명을 헤레스로 발음하는데 영어화해
서 Sherry로 부르게 되었다
⊙ 리오하 지방
레드 와인이 유명하며 나무통에 숙성시킨다. 포도품종은 스페인 최고의 적포
도 품종인 뗌쁘라니요와 가르나차를 사용한다.
⊙ 까딸루냐 지방
빠레야다 발포성 와인
싸렐로 발포성 와인
마까베오 발포성 와인
그 외에도 루에다, 두에로, 몬띠야, 말라가 등이 있다.
⊙ 쉐리의 제조 과정의 특이한 점
1. 발효가 끝난 와인은 나무통에 저장할 때 꽉 채우지 않으므로 숙성 과정에
서 산화가 된다
2. 산화과정에 따라 쓴맛의 휘노가 되고 어느 것은 올로로쏘가 된다.
3. 브랜디를 첨가하여 알코올 도수를 높인다.
4. 쏠레라 시스템을 거쳐 병입된다.
▣포르투칼 와인
포도원은 고원 지대에 많고, 길고 무더운 여름 우량도 많아 포도재배에 적
당한 기후이다. 기본적으로 비뉴베르드와 비뉴마두루의 2가지 타입이 있다. 특
이한 와인인 Port Wine과 로제와인이 유명하다.
⊙ 포르투갈 와인법
혜지앙 데마르까다 지역한정관리, 프랑스의 A.O.C.와 비슷한 법으로 7개 지
역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1. 베르드 지방
포도를 완전히 익기 전에 수확하므로 신선하고 Green향이 난다.
포도 품종으로 레드는 아마랄을, 화이트는 알바리뉴와 아잘을 사용한다.
2. 도우루 지방
험악한 산악지대이며 짙은 색의 풍부하고 부드러운 포트와인을 생산한다
3. 다웅 지방
포르투갈의 중심지이며 중후한 향과 맛을 지니고 있다. 레드는 부르고뉴,
화이트는 알사스 타입이다.
오래 숙성한 고급 레드 와인은 르제르바스 라고 표기한다
4. 바이하다 지방
깊은 과일 향과 밝은 색깔의 레드 와인을 생산한다.
5. 마데이라 섬
6. 그 외 리스본 북측, 리스본 북서측 등 7개 지역이 지정되어 있다.
⊙ 와인의 종류
1. 포트와인
대표적인 디저트 와인이다. 만드는 방법은 포도즙이 나무통에서 발효하는
동안 브랜디를 넣어 발효를 중지시켜 당분이 남게 되어 달콤하고 강력한
와인이 된다. 몇 년의 숙성을 거쳐 품질 검사 후 합격품에만 포트 와인이
란 호칭이 허용된다.
루비 포트 - 가장 어리고 루비색이며 매우 달다.
화이트 포트 - 백포도를 사용한 것으로 차게 마시는 것이 좋고 황금색.
타우니 포트 - 화이트와 루비를 혼합시킨 것으로 일반적인 것과 올드 타
우니라 하여 오래 숙성시킨 고급품이 있다.
2. 로제 와인
포르투갈의 로제 와인은 포트 와인과 함께 세계적이다. 상표로는 마떼우
스, 란세르가 유명하다.
3. 비뉴 베르드
신선하고 라이트한 실버칼라의 세미스파클링 와인으로 일명 그린 와인이
라고도 한다. 수확을 일찍하고 발효를 짧게 하여 알코올 함유량이 낮다.
4. 마데이라
마데이라섬 고유의 제조 방법으로 만든 와인은 보존기간이 매우 길다. 일
반 발효 과정 이후 드라이 와인은 에스뚜화쟁 과정 전에 알코올이 강화되
고, 스위트 와인은 에스뚜아젱 과정 후에 알코올이 강화된다.
◈ 유럽이외의 다른 생산국가의 특징
유럽과 같은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지않은 새롭게 부각된 와인 국가들은 자신들이 생산하는
훌륭한 와인들을 포도품종에 더 강조 하고 있다. 1960년부터 시작하여 몇 개 나라들은 이러한
와인들의 출처를 보장하는 규정을 법령화 하였다.
▣ 미국
미국은 최고의 와인을 생산하는 국가들 중의 하나이다. 캘리포니아의 기후와 토양은 좋은
유럽 포도품종으로 높은 품질의 레드와 화이트 와인을 재배할 수 있는 이상적인 환경을
주고 있다.
다른 지역으로는 뉴욕, 워싱턴, 오레곤과 텍사스주가 있다. 미국 와인 재배지들은 1983년에
처음으로 토양과 기후에 따라 지역의 명칭(appellation)을 주는 것으로 좀더 구체화 하였다.
미국은 다양한 범위의 뛰어난 와인들이 생산되는데 특히 화이트 와인으로는 샤도네와
소비뇽 블랑 그리고 레드와인으로는 까베르네 소비뇽, 멜로 그리고 진팔델이 유명하다. 품질
좋은 스파클링 와인들도 생산된다.
미국산 와인은 대량으로 생산되는 일반적인 와인들이 많은데 종종 샤블리, 버건디 그리고
포트라는 유럽식 이름을 가지기도 한다. 이러한 브랜드들은 생산 지역 명칭(appellation)을
표기하여야 한다. 즉 라벨에 ‘캘리포니아 샤블리’ 라고 표기하게 되어있다.
적어도 75%이상이 한가지 포도품종으로 제조되었으면 그 품종의 이름을 라벨에 표기하게
된다. 그리고 지역 명칭(Appellation)도 표기하게 되어있는데 명칭이 나라 혹은 주(State)가
된다면 적어도 사용된 포도의 75%가 그 지역에서 생산된 것이어야 한다. 명칭이 승인된
포도재배가의 지역이라면 생산포도의 85% 이상이 그곳에서 재배가 되어야 한다.
빈티지(수확년도)를 표기할 경우에는 적어도 95%이상의 포도들이 그 빈티지 해에 수확이 된
것이어야 한다.
미국 와인의 약 90%가 캘리포니아에서 생산된다. 나파벨리(Napa Valley), 소노마
컨츄리(Sonoma County) 그리고 다른 좀 더 추운 지역인 북부해안 지역에서 최고의
와인들이 생산된다. 까베르네 소비뇽과 샤도네들이 가장 유명하고 그 다음으로 소비뇽 블랑,
피노누아가 유명하다. 캘리포니아에서 거의 독점적으로 생산되는 진판델은 전통 유럽식
포도들과 대등하게 생산이 된다. 캘리포니아 와인들은 좀 더 높은 알코올을 함유하고 있고
유럽지역의 와인들에 비해 포도품종에 따른 향과 맛이 좀 더 뚜렷하게 표현되는 경향이
있다.
▣ 캘리포니아의 와인
미국의 와인은 뉴욕주에서 처음 제조되기 시작했으나, 사람들이 황금을 찾
아 서부로 대이동하여 캘리포니아에 정착하면서 이곳에서 와인 산업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미국의 동부는 대륙성 기후로서 겨울이 너무 추워 포도 재배에는 그
다지 적합하지 않았다. 이에 비하여 서부 해안지방은 포도재배에 이상적인 기후
를 가지고 있었다. 태평양 연안의 캘리포니아는 맑은 날이 많아 일조량이 풍부
하고 겨울에도 별로 춥지 않다. 미국의 와인 제조용 포도는 대부분 유럽종이거
나 미국에 자생하는 토종 포도의 개량종이다. 미국 토종 포도는 겨울의 강추위
에 대한 내성은 강하지만 이상한 냄새가 나기 때문에 와인 제조용으로는 적합하
지 않다.
유럽종 중에서 화이트 와인용인 샤르도네 등은 미국의 기후와 토양에 잘
적응하였으나 레드 와인용인 피노 누와 등은 성공하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점들
을 극복하기 위해 미국의 와인 제조업자들은 토종 포도와 유럽 포도를 접붙여서
미국의 기후에 알맞고 품질이 좋은 포도를 생산했다. 그 가운데 대표적인 품종
으로는 화이트 와인용 세이블 블랑(Seyval Blanc)과 레드 와인용인 바코누아(B-
aco Noir)등이 있다. 미국에서는 자율적으로 보다 생산성이 높고 보다 현대인의
감각에 맞는 와인을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캘리포니아 포도원은 크게 3개 지역으로 나뉘는데 샌프란시스코 북쪽 해안
에 위치한 나파 밸리(Napa Valley)와 소노마 카운티(Sonoma County)지역, 캘리
포니아 중부 내륙의 산죠퀸 밸리(San Joaquin Valley), 그리고 남부 해안지역의
몬트래이 카운티(Monterey County)와 산타 클라라(Santa Clara)가 있다. 캘리포
니아에서는 미국에서 생산되는 와인의 약 90%가 생산되며 그중에 약 80%는 중부
내륙의 산죠퀸 밸리 지역에서 생산된다. 나파 밸리와 소노마 카운티의 비중은
약 10%에 불과하지만 고급 와인은 대부분 이곳에서 생산된다.
유명한 와인 메이커로는 볼리에 빈야드(Beaulieu Vineyard), 로버트 몬다
비(Robert Mondavi), 샤토 세인트 장(Chateau St. Jean)등을 꼽을 수 있다.
▣ 호주
호주는 좋은 품질의 와인을 생산하는 국가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 소개된 기술로
더욱더 좋은 품종의 포도와 와인들을 생산하고 하고 있다.
기후는 미국 캘리포니아와 비슷한데 주요 포도 재배지역은 뉴사우스 웨일즈(New South
Wales)의 약간 서늘한 지방인 남부지역, 빅토리아 (Victoria)와 호주 남부 지역으로 해면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둥근 아치모양을 이룬다. 호주 와인들은 와인 지역을 라벨에
명시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충분히 이름이 있는 유명한 지역들이 있는데
클레어/워터베일(Clare/Watervale). 무레이 벨리(Murray Valley), 훈터 벨리(Hunter Valley)
그리고 쿠나와라(Coonawarra) 지역들이 있다. 쉬라즈와 까베르네 소비뇽과 같은
포도품종으로 훌륭한 레드와인들을 만들고 세미용과 샤도네와 같은 탁월한 화이트 와인들
그리고 무스캇과 다른 포도품종으로 달콤한 디저트 와인들을 주로 생산한다.
와인의 이름은 어떻게 지어지는가?
와인을 만드는 포도의 종류나, 생산지 이름에 생산자(혹은 양조장)의 이름을
추가하면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와인이름이 됩니다
로버트 몬다비 카베르네 쇼비뇽(Robert Mondavi Cabernet Sauvignon)이라는
와인 이름은 와인 생산자인 Robert Mondavi와 포도 이름인 Cabernet Saubignon 을 합해
만들어진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유럽에서는 생산지의 이름을 따서 와인의 이름을 짓고
미국에서는 포도의 이름을 따서 와인에 이름을 붙입니다 물론 유럽와인에도 포도명이
라벨에 표시되고 미국와인에도생산지명이 표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포도의 이름을 따서
와인이름을 지으려면 그 포도가 최소한 유럽국가들(정확히 말하자면 유럽 연합내의
국가들)에서는 85% 캘리포니아에서는 75%(미국은 주마다 최소량이 다릅니다.) 는
되어야 합니다
........ 유럽 연합내의 국가..
생산지 이름(보르도,버건디 등) + 생산자(양조장)의 이름
{{
}}...... 미국...
포도명 + 생산자(양조장)의 이름
한편 1933년 미국에서는 금주법이 폐지된 이후
수십 년 동안 대부분의 미국산 와인은 키안티, 버군디, 샴페인, 샤블리 같은
유럽 와인의 이름을 모방하여 와인의 이름을 지었습니다
와인이 널리 퍼지지 않은 미국에서 와인
생산자들이 꾀를 낸 것이지요
(처음에는 이름세를 타고 인기가 좋았으나 지금은 많이 사라지는 추세입니다)
이 와인들의맛은 진짜 키안티,버군디 등과는 아무 연관이 없습니다
........ 포도명,생산지명이 아닌 특별한 단어가 사용되는 경우..
상표명 : 보르도 지방의 무통 까데(Mouton Cadet)와
캘리포니아산의 리버티 스쿨(Liberty School)등
대부분의 와인은 상표명이 있습니다
그 중에는 포도명을 포함시킨것-시미(the Simi:상표명) 쇼비뇽 블랑(포도명) - 도 있고
지역 이름을 포함시킨 것 - 볼라(theBolla: 상표명) 소아베(지역) - 도 있습니다
이들 상표명은 대개 와인인을 만든
양조업체(winery) 의 이름입니다
이러한 상표명 와인은 대개 두가지 범주에 속합니다
기존의 양조업체들이 만드는 2등급 와인이거나
(생산자의 자체적 품질기준에 맞지 않아 2등급 병에 담기게 됩니다.)
판매전략에 따라 개발된 와인입니다
....... 특허등록명 : Tapestry, Conundrum, Insignia, Cardinale
Isosceles Mithology,Trilogy등 와인 병에 매우 독창적인 이름이 붙어있는 경우...
이런 이름들은 생산업자가 특수한 와인에 붙인 특허등록명입니다
미국의 경우,특허등록명을 가진 와인들은 대개 몇 종류의 포도를 섞어 만듭니다
그러니 어떤 특정한 포도이름으로 와인 이름을 지을 수 는 없습니다 유럽산 와인의 경우
와인을 만들기 위해 사용한 포도가 그 지역에서 법으로 정한 포도가 아니라면 상표에 포도
이름을 표시할 수 없습니다
상표명 와인은 여러 가지 와인에 두루 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산 퍼처라는 상표 아래
진판델, 카베르네 쇼비뇽, 샤르도네라고 적을 수도 있고
프랑스산 루이 자도라는 상표명 아래에 보졸레, 푸위 휘세, 마콩 비라쥐 및 기타
이름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특허등록명은 특정한 와인에만 쓸 수
있습니다
특허등록명 와인은 대개 소량으로 만들어지며 무척 비쌉니다
그리고 품질은 대단히 좋습니다
'술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비의 명약 양파 와인 (0) | 2013.08.13 |
---|---|
포도주 담기 (0) | 2013.07.03 |
와인학2 (0) | 2013.07.03 |
와인학1 (0) | 2013.07.03 |
몸에 좋은 와인 고르기 (0) | 2013.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