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이야기

캔들

정성연 2015. 11. 17. 14:01

 

차트만큼 어려운게 캔들 공부인데요,

쉬운 것들 하나씩 써드리면 재미있게 보실 거 같아서 올립니다.

 (캔들 원리까지는 길어지고 복잡해지니 내용만 간단히 올립니다)

하락 장에는 별달리 재미난게 없으실 것 같아서..ㅎㅎ


[유성형과 역망치형 캔들]

      




 




[유성형(역망치)] - 하락 예견


상승추세가 이어지다가 상투권(상투를 틀다'할때 상투를 말하며, 즉 머리꼭대기 위/ 최상단을 말함)

에서 꺼꾸로 세워놓은 듯 한 망치형 캔들을 '유성형 캔들'이라고 합니다.

즉, 상승에 힘이 꺾여 하락을 예견하는 꽤 신뢰도 높은 캔들인데요. 망치는 손잡이가 길고 망치부분은 짧죠?

그렇게 윗꼬리가 길고 아래 몸통이 하단부에 짧게 형성된 것을 , 유성형 캔들 또는 역망치형 이라고

부릅니다. (하늘에서 유성이 떨어지듯 , 떨어진다 생각하시면 됩니다.)








[역전된 망치] - 상승 예견

하단에서 단기적 바닥을 암시하는 역망치형 캔들로써 이 캔들의 경우 더욱 신뢰도가 높으려면

다음날 갭상승을 하게되면 상승 추세가 신뢰도 높게 이어진다 할 수 있겠습니다.

전형적인 기관이나 세력들의 매집형 캔들이고 몸통의 색은 음봉, 양봉 상관 없습니다.

보통 리딩가들이 상승에서의 역망치와 구분하기 위해서,

상승에서의 추세전환 캔들은 '유성형'

하락에서의 추세전환 캔들은 '역망치' 로 명칭을 나눠 씁니다.


앞으로 '유성형 캔들' 이라는 말을 들으면 머릿속에 바로 떠오르실 수 있겠죠?


캔들은 일봉, 주봉, 월봉 다있죠? 다 해당되는 내용입니다만

차이점은, 주봉은 주 평균, 월봉은 월 평균 이다보니깐

그 기간 전체 평균로 보자면 상승이다, 하락이다 '라는 차이가 있답니다.

일봉의 경우 상승반전 캔들이 나오면 다음날 바로 상승이 가능하겠지만

주봉의 경우 상승반전 캔들이 나오더라도 그 다음주 평균이 상승인 것이니 그 주 안에서의 조금의 차이는 있겠죠.

 

간단한 캔들 이야기 저도 들려드리면서 보시는 분들도 재미나게 배우시면 좋을 듯 합니다.

 

오늘은 차트 캔들 설명을 할때 자주 등장하는

[망치형/ 교수형] 캔들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추세가 하향으로 향하거나 혹은 장기간 바닥을 다지다 눌림을 받고 소폭 내려가다

위에 그림 처럼

윗 꼬리가 거의 없고, 몸통이 장중 거래 범위의 약 30~50이하이고

아랫꼬리가 매우 긴 형태, 마치 망치모양의 캔들이 나온다면 이는 상승 반전을 의미합니다.

다만, 발생 다음날 갭 상승 한다면 더욱 신뢰도 높은 상승추세가 되니 살펴보시고요.

보통 5~10일 정도의 하락추세 후 이 패턴이 형성 되었다면

향후 주가의 상승 반전이 일어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망치형은 양봉, 음봉이든 상관없으나 아랫꼬리가 길수록 윗꼬리가 짧을수록 신뢰도가 높습니다.



그렇다면 상승 중에 나타나는 망치캔들은 뭐라고 할까요?




바로 교수형 캔들 입니다.

무섭죠.. 목을 매달은 듯한, 교수형 캔들은 하락반전을 의미하고

연이은 상승 추세 끝에 저런 교수형 캔들이 나온다면 투자시 주의 해야 한답니다.

망치형과 같이 윗꼬리가 거의 없고, 장중 거래범위 30~50이하 , 아랫꼬리가 길고 윗꼬리가 없을수록

신뢰도가 높아지며, 마찬가지로 다음날 갭하락한다면 더욱 하락반전에 신뢰도가 높아집니다.


 

위 캔들은 전날 배웠던 역망치형, 유성형 캔들보다 더 신뢰도 높게 평가됩니다.

즉 저런 모형의 캔들이 나오고 나면 거진 상승, 혹은 하락 반전이 일어났다는 거죠.

캔들이야기 - 네번째 시간.

세번째 시간에 배웠던 망치형, 교수형 캔들. 두번째 시간에 배운 역망치형 캔들.

그런데 캔들을 보다보면 몸통이 긴~ 해머? 같은 캔들도 있잖아요?

그럼 그런 것들은 의미하는게 없을까요?


[상승, 하락 샅바형 캔들]




위처럼 윗꼬리가 없고 긴~ 몸통을 하락샅바형 캔들이라고 합니다.

씨름할때 샅바 처럼 긴~ 캔들을 말하죠.

헌데 중요한 점은 시가(시초가,시작가)와 고가가 동일한 긴 음봉입니다. (시가부터 아래로 쭉 형성)

높은~상권에서 저런 캔들이 몸통을 길게 나타나면 날수록 강한 하락장을 예고한다 할 수 있습니다.

몸통의 길이가 길수록 신뢰도는 증가하며

발생당시 이전에 잘 나타나지 않았다면 더욱 의미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전에 있었나 한번 찾아봐야겠죠?)



그럼 반대인 경우는요?


바로 상승샅바형입니다.

하락샅바형은 긴헤머처럼 생겼는데, 얘는 그 헤머를 뒤집어 놓은 것 같죠? 헷갈리시면 안되요.

형태상으로는 시가(시초가,시작가)와 저가가 동일한 긴 양봉입니다. (시가부터 위로 쭉 형성)

바닥인 하권에서 몸통 길게 나타나면 강한 상승장을 예고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몸통의 길이가 길수록 신뢰도는 증가하며 발생당시 (이전에) 잘 나타나지 않았다면

더욱 의미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얘도 내 종목 차트에 있나 찾아봐야죠 ㅎㅎ)

비록, 망치형 / 교수형 캔들보다 그 의미가 강한, 신뢰도 높은 캔들은 아니지만

이전에 유사한 캔들이 없었다면 상승,하락 샅바형 캔들도 신뢰도가 높아진답니다.

 

그리고 캔들의 형성과정은 찾아보시거나 아니면 다음번에 설명을 드릴게요.

그러나 특정캔들의 패턴 원리는 음.. 말하자면, 수학 공식을 외우기는해도

그 공식의 형성이나 원리는 굉장히 복잡하죠.

공부를 좀 더 심도 있게하시려면 캔들과 관련된 동영상이나 서적 등을 보시는게 좋고요

저는 조금 쉽고 재미나게, 공식정도 간략히 알려주는 차원에서 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