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지의 정의
'농지'라 함은 전, 답, 과수원 기타 그 법적 지목 여하에 불구하고 실제의 토지현상이 농작물의 경작
또는 다년성 식물재배지로 이용되는 토지. 다만, 초지법에 의하여 조성된 초지등 대통령령이 정하는
토지를 제외한다.
농지취득자격증명
농지는 농지법 제6조 내지 제8조에 농사를 짓고자 하는자만 취득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농지는 기존
의 농사를 짓고 있는 자나 처음 취득하는자 모두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 받아야만 소유권이전
이 가능하다.
농지취득자격증명 발급대상 (지목 : 전, 답, 과수원 등)
지목이 임야인 토지라도 실제의 토지현상이 형질 변경되어 농작물이나 다년성 식물재배에 계속하여
3년 이상 이용되는 토지는 농지법상 농지에 해당되어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 받아야만 소유권이전
이 가능하다.
발급신청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 받고자 하는 자는 농업경영계획서를 작성 하여 농지의 소재지를 관할 하는
시장·구청장 · 읍장 또는 면장에게 그 발급을 신청하여야 한다. (제8조2항) ※ 농업경영계획서의 내용 : 취득대상농지의 면적, 취득대상농지의 농업 경영에 적합한 노동력 및 농업
기계, 장비의 확보방안, 소유 농지의 이용실태(농지를 소유하고 있는 자의 경우에 한함)
농지의 소유제한
농지는 농업인, 농업인이 되고자 하는 자, 농업법인만 취득하여 소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농지법
제6조제1항).
다만, 2003.1.1부터 농지법 개정으로 위의 농업인이 아닌 개인이 주말 등을 활용하여 여가 또는 취미
활동으로 농작물을 경작하거나 다년성식물을 재배하고자 하는 경우(이를 주말체험영농이라 함)에는
세대별로 1,000㎡ 미만의 농지를 자기의 농업경영에 이용하지 않더라도 주말체험영농 목적으로 농지
취득자격증명을 발급받아 농지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농지법 제6조제2항제2호의2, 제7조
제3항, 제8조).
농지의 소유상한(농지법 제 7조)
농업경영 목적으로 취득하는 경우는 농업진흥지역에 관계없이 제한이 없다.

상속의 경우 10,000㎡ 이하

8년이상 농업경영을 한후 이농한자는 당시의 소유 농지중에서 10,000㎡ 이하

도시민의 주말체험영농 목적으로 취득시 1,000㎡ 미만

농지취득자격증명 발급 제외 농지
지목이 농지라도 도시계획구역안의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또는 도시계획 시설예정지로 지정
또는 결정된 농지 ⇒ 토지이용계획확인서(예전 도시계획이 되어 있는 지역에는 '도시계획확인원'을,
도시계획구역 밖에 있는 지역에는 '국토이용계획확인서'를 발급해 주었으나 현재 토지이용계획확인
서로 통합 발급된다)에서 확인한다.
도시계획구역안의 녹지지역, 개발제한구역 및 도시개발예정지구안의 농지로서 도시계획법 제4조의
규정에 의한 토지형질변경허가를 받은 농지(참고로 농지법은 현황주의를 채택하고 있다.)의 경우
농지취득자격증명이 필요 없다.
자주 묻는 질문(Q&A)
주말체험 영농목적 농지 구입시 농지취득자격증명이 필요한가?
⇒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 받아야 한다.
- 주말체험영농 목적의 농지라고 함은 세대별로 1,000㎡ 미만의 농지를 말하며 기존 소유농지와 주말체
험영농 목적으로 새로이 취득하는 농지면적을 합한 총 농지면적을 말한다. 따라서 기존에 매수한 농지
면적을 뺀 나머지 면적내(1,000㎡ - 현소유 면적)에서 매수 가능하며 면적초과 시에는 기존 소유 농지
를 포함하여 농업경영계획서 작성 제출해야 한다.
공유지분 취득시에도 자격증명이 필요한가?
⇒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 받아야 한다.
- 공유지분은 전체가 아닌 지분권을 낙찰 받았으므로 지분에 대한 권리만 있습니다. 공유지분은 지적도
에도 별도 지분에 대한 구분 표시가 되어 있지 않는 관계로 위치 확인이 어려우며, 주말체험영농 목적
으로 농지를 취득하는 경우에 농지취득자격증명발급요건에 소유권이 단독소유인가 공동소유인가를
구분하지 않으며, 다만 해당 토지가 세대당 기존 소유농지와 새로이 취득하는 농지면적을 합한
1,000㎡ 미만이면 된다.
농지취득자격증명서를 발급받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 시·구·읍·면장은 농지법 제8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농지취득자격증명의 발급신청을 받은 때에는 그
신청을 받은 날부터 4일(법 제8조제2항 단서의 규정에 의하여 농업경영계획서를 작성하지 아니하고
농지취득자격증명의 발급신청을 할 수 있는 경우에는 2일) 이내에 적합한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이
에 적합한 경우에는 신청인에게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하여야 한다.<개정 2006.1.20>
주말·체험영농 목적으로 여러 곳의 농지 취득이 가능한가?
- 도시민이 주말·체험영농 목적으로 농지를 취득하는 경우에는 여러 지역에 분사하여 취득하는 것이 가
능하다. 다만, 취득후 세대원 전부가 소유하게 되는 농지의 총면적이 1,000㎡ 미만이어야 한다.

- 이 경우 세대별로 1,000㎡ 미만의 농지란 기존 소유농지와 주말체험영농 목적으로 새로이 취득하는
농지면적을 합한 총농지 면적을 말한다(농지법시행령 제10조).

불법으로 형질이 변경된 농지의 경우 농지취득자격증명발급 가능한가?
- 불법으로 형질 변경한 부분에 대한 복구가 필요하며 현 상태에서는 농지취득자격증을 발급받을 수 없
다.

지목이 전(밭)이나 현재 묵전인 경우 농지취득자격증명발급 필요한가?
- “묵전”이란 소유자가 밭을 가꾸지 않고 묵힌 것으로 이 경우에도 농지취득자격증명은 필요하다.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받지 못한 경우 입찰보증금 반환 가능한가?
- 농지는 자기의 농업경영에 이용하거나 이용할 자가 아니면 원칙적으로 소유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으
며, 또한 농지는 기존의 농사를 짓고 있는자나 처음 취득하는자 모두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 받아야
만 소유권이전이 가능하다.(농지법 제6조 내지 제8조)
-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 받지 못하여 소유권이전등기를 할 수 없는 경우라고 하여도 매각결정이 취소
되지 않으며 입찰보증금 역시 환불 하지 않는다.(입찰보증금은 국고로 귀속)

- 그러므로 입찰에 참가하기 전에 반드시 입찰자 본인이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 받을 수 있는지 확인
해야 한다

농지취득자격증명신청을 반려하는 경우?
- 신청대상 토지가 농지법 제2조제1호의 규정에 의한 농지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경우
- 신청대상 농지가 자격증명을 발급 받지 아니하고 취득할 수 있는 농지인 경우
- 신청인의 농지취득 원인이 자격증명을 발급 받지 아니하고 농지를 취득할 수 있는 것인 경우
- 신청대상 농지가 농지법을 위반하여 불법으로 형질을 변경한 농지인 경우
내가 나를 경험 한대로 나에게 주어지고 내가 인식 한대로 세상은 존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