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토의 효소 성분은 인체에 독소제거, 분해력, 정화작용을 하고
탁월한 온,습도 조절은 물론 원적외선을 내뿜어 생체세포를 활성화 시켜주고
시멘트 독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근래에 다시 황토주택에 대한 인식이
새롭게 바뀌어 가고 있고 또 많은 주택들이 황토로 건축되어지고 있다.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도 지을수 있는 집이란 생각을 하는 사람이 많다.
사실 어떤 측면에서는 황토집은 짓기 쉽고 또 저렴한 비용으로 지을수 있다.
그러나 황토집은 재료보다 인근비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저렴하게 지을수 있는 집이지만, 또한 그렇게 짓기 쉬운 집도 아니다.
황토집을 제대로 짓기 위해서는 평당 건축비 2백30~3백만원 정도는
또 전문적인 기술자도 있어야 한다.
단순히 황토집은 쉽고 값싸게 지을수 있다는 점에서 접근하면 실패하기 쉽다.
황토집은 토속적인 외관과 건강주택으로서의 장점으로 접근하여야 실수가 없다.
인건비만 해결할수 있다면 가장 저렴한 가격에 황토집을 지을수 있다.
게다가 황토도 쉽데 얻는다면 집짓는 비용은 많이 줄어든다.
예를들어 황토는 자신의 땅에서 구하고 가족들끼리 어울려
그러나 흙의 속성과 흙을 다루는 기술을 습득하지 않으면 좋은 지을 수 없다.
황토집을 개인적으로 짓겠다고 달려들었던 사람이나 지어본 사람들은
하나같이 황토를 다루는 기술이 없어서, 제대로 된 황토기술자를
특히 벽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황토집은 기능이나 외관 등 큰 차이가 난다.
황토집 짓기의 가장 고전적이고 서민적인 방법은 벽체 골조를 세운 후
이 방법을 맞벽치기라 하고 그렇게 만들어진 벽을 삼벽조라 부른다.
집 지을 장소가 정해지면 터를 집짓기 좋게 닦아야 한다.
일정한 깊이로 구덩이를 파고 모래나 자갈, 돌 등을 놓은 후
예전에 집을 지을 때는 집이 들어갈 만큼 구덩이를 판 후 돌을 쌓고
터가 닦여지면 그 위에 주춧돌을 놓는데 서민주택에는 자연석을 사용하였다.
또 호화주택에서는 기둥이 들어갈수 있도록 홈을 파고 그 패인 곳에
촘촘히 걸어야 하중을 많이 받아도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우선 기둥에 구멍을 뚫어 기둥과 기둥을 가로로 연결시켜
나무를 댄 후 이 가로로 댄 나무에 세로로 힘살을 박아 넣는다.
벽면의 힘살이 완성되면 힘살에 수수깡이나 겨릅, 대나무,
서까래 위에 흙을 깔 때는 약간 질척한 황토로 12㎝정도 되게 발라주고
이렇게 지붕 위에 흙을 올릴 때는 단열과 관계가 깊으므로 신경 써야 한다.
흙을 올린 위에 다시 기와를 올리든가 이엉을 올린다.
지붕을 얹을때는 수평 맞추는 것에 신경 써야 한다.
초가지붕의 경우 이엉을 엮을 때부터 크기를 맞추어야 지붕 끝선이 수평을 이루고 물매가 좋다.
지붕을 덮을 때는 지붕끝 추녀에 맞추어 한바퀴 돌려 덮고 새끼줄로 촘촘히 묶어 놓는다.
계속하여 층이 지게 덮어 나간다. 마지막으로 용새를 올려 놓은 후
새끼줄로 지붕 전체를 엮어주면 초가지붕이 마무리 된다.
서까래를 올리고 벽체가 완성되면 그 벽체에 흙을 쳐야 한다.
흙치기를 하기 전에는 우선 흙을 다져야 하는데 이 흙을 다지는 기술이
흙벽을 만들었을 때 벽이 갈라지든가 아니면 흙이 떨어져
며칠동안 물을 뿌려가며 덮어두었다가 사용하는 것이 좋다.
며칠간 충분히 숙성시킨 흙으로 벽을 만들었을 때 갈라지지 않는다.
벽은 세번에 걸쳐서 치는데 처음 치는 벽을 초벽이라 한다.
초벽은 황토에 짚을 5㎝정도 되게 썰어 넣고 물을 많이 부어 질게 다진 후 사용한다.
벽을 바를 때는 벽체 골조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서 각각 2㎝정도의 두께로 마주보고 발라준다
초벽이 끝나면 재벽을 치는데 재벽은 초벽을 친 위에 짚을 넣지 않은
재벽이 끝나면 사래로 친 고운 흙에 풀이나 모래, 강회,
이렇게 하면 견고하여 벽이 터지지 않게 되는데 이것을 새벽이라 한다.
새벽을 할 때는 땅쪽에 가까운 곳의 벽면은 강회나 석회를 섞은 황토를
새벽까지 끝나 마무리 된 벽의 두께는 8~12㎝정도 된다.
이러한 벽치기의 방법을 맞벽치기라 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벽을 삼벽조라 한다.
구들은 집의 보온에 관한 것이므로 많은 기술을 요한다.
아궁이 쪽과 연결시켜 바닥을 파고 몇개의 불목을 만들고
윗목으로 갈수록 얕게 파 45도 정도 경사지게 해준다.
불목끝의 가는 홈은 불목보다 깊이 파 주어야 굴뚝을 통해
구들장이 놓여지면 그 위에 황토를 발라 방바닥을 만들게 된다. 방바닥을 만들 때는
그 가운데다 숯이나 쑥을 넣은 후 황토를 바르면 건강에도 좋다.
또 수맥파를 차단 하기 위한 동판을 깔아준 후 그 위에 황토를 덮는다.
방바닥을 바를 때는 보리풀이나 볏짚, 솜 등을 섞은 황토로
또 찰수수풀에 쑥이나 소나무 등의 가루를 함께 사용하면 향도 좋고 오래간다.
이렇게 하여 황토집이 완성된 후에는 15일동안 하루에 세번이상
기둥과 기둥을 가로질러 나무를 대로 그 가로나무에 힘살을 넣은 후 수수깡이나 겨릅,
대나무, 싸리나무 등을 칡넝쿨과 새끼로 엮어 벽체 골조를 세운다.
또다른 방법은 힘살대신 새끼줄로 바둑판과 같이 가로세로
이 벽체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서 흙을 발라 마무리 하는 벽이다.
벽에 흙을 바르는 것을 '흙을 친다'고 하는데 흙을 칠 때는 세번에 걸쳐서 친다.
초벽은 짚을 썰어 넣어 흙을 질게 하여 2㎝정도의 두께로 발라주고
재벽이 끝나면 다시 사래로 친 흙에 모래나 강회, 백시멘트 넣고 마무리해준다.
이 마무리 작업을 새벽이라 한다. 이렇게 하여 만든 벽의 두께는 12㎝정도 된다.
이 두께는 별도의 단열처리를 하지 않는 이상 단열에 문제가 생길수 있다.
현재 짓고 있는 황토집도 황토블럭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황토로 벽돌보다 큰 블럭을 만들어 건조시킨 다음 그 블럭을 쌓아서 집을 짓는다.
블럭을 만들 때는 짚을 썰어 넣고 충분히 갠 후 철판으로 만든 블럭틀에 넣어서 찍어 낸다.
블럭틀은 나무로 만들수 있으나 작업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서는 철판으로 하는 것이 좋다.
짚을 썰어 넣은 황토를 잘 이긴 후 틀에 넣고 다음 모양이 만들어 지면 꺼내서 응달에 말린다.
직사광선을 바로 받지 않게 비닐하우스를 만들어 그 안에서 말리는 것이 좋다.
블럭의 크기는 보통 벽돌보다 4~5배 크게 만들어야 한다.
층마다 잘 개어진 흙을 발라주어 블럭의 틈새가 벌어지..지 않게 만든다.
그리고 표면을 다시 흙으로 발라주면 된다. 블럭의 질감이 좋아 표면 처리를
황토를 블럭을 만드는 것과 같이 벽돌로 만들어 집을 짓는다.
벽돌의 대량생산만 가능하다면 황토집을 짓는 방법 중 가장 좋은 방법이라 할수 있다.
황토벽돌의 대량생산을 위해 꾸준히 연구하는 사람들이나 업체가 늘어나고 있는데
충남 병천의 김정덕씨의 경우 10㎝×19㎝×32㎝ 크기에 10㎏무게의 벽돌을
30평형 집을 짓는데 필요한 황토벽돌은 4천장 정도다.
황토벽돌 만들기는 황토집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람은 누구나 한번쯤
황토집의 질을 높이고 건축기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바로 이 황토벽돌에 달려 있다.
황토벽돌을 만드는 방법에는 재래식 방법인 완전 수작업의 경우와
재래식방법은 손수 흙을 갠 후 벽돌 틀을 만들어 손으로 찍어내는 방법이다.
이렇게 하면 품질은 양호하나 표면이 거칠고 대량생산이 불가능 하다.
기계를 이용하였을 때는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외부표면이 정교하나
거푸집과 같이 나무판자로 틀을 만들고 그 틀속에 황토를
콘크리트는 벽 하나를 통채로 거푸집을 만들지만 황토의 경우에는
아래에서부터 20㎝ 정도의 넓이로 올라가면서 벽을 만든다.
이렇게 담틀로 벽을 만들 때는 완성된 담틀에 흙을 다져 넣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담틀에 사용하는 흙은 물기가 없게 하여 넣은 후 막대기로 단단하게 다져 주어야 한다.
그만큼 노동력이 필요하다. 담틀로 벽체를 만든 집을 담집이라고 하며
위로 올라가면서 중간중간에 통나무를 대고 흙을 눌러준다.
귀틀집과 비슷하지만 가로대는 나무가 기둥을 벗어나지 않는다.
황토벽이 안터지는 이유 황토집을 지어본 사람들은 하나같이
이렇게 황토벽에 금이 가는 것은 물을 머금고 있던 황토가 마르면서 수축되기 때문이다.
이렇듯 황토벽에 금이 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황토집 건축의 최고 기술이다.
보통 황토벽이 터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 강회나 백시멘트를 황토에 섞어 쓴다.
그러나 이 방법은 황토 고유의 효능을 떨어뜨릴수 있다.
또 하나의 방법은 황토로 블럭을 만든 다음 이것을 불에 달구어 구어낸다.
이렇게 구운 블럭을 다시 잘게 부수어 가루를 만든 다음 벽체에
예전 산간지방에서 통나무와 흙을 이용하여 지은 집이다.
근래들어 이 귀틀집을 응용하여 지은 짖들이 생겨나고 있다
벽 단면을 가로질러 통나무토막을 놓고 황토벽을 만든다.
사용하는 통나무는 껍질을 벗겨야 한다. 이유는 건조되었을 때 껍질이
또 제대로 건조되지 않은 통나무를 사용할 경우 벽을 만들고 난 후 건조되면서
통나무의 부피가 작아져 벽에 틈이 생길 수 있다. 통나무와 황토를 같이
이 방법으로 10평 정도의 주택을 지을 경우 황토가 15톤 트럭으로
1.황토집은 숨을쉬기에 습도조절.항균.탈취.소취효과가 뛰어나다.
황토는 습할때는 습기를 흡수하고 건조할때는 습기를 발산하여 항상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여 여름에는 시원하게, 겨울에는 따뜻하게 하여준다.
황토는 습할때는 습기를 흡수하고 건조할때는 습기를 발산하여
2.황토는 "태양에너지의 창고"이기에 축열효과.온열효과가 있어 보온성이
뛰어나며 원적외선의 방출로 신경통.아토피.천식 등에 효과있다.
황토는 원적외선을 방출하여 사람의 몸을 편안하게 하여주고
숙면의 효과가 크며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건강한 삶을 살게 한다.
7.황토집은 편안함과 안정감을 주어서 정신건강에 좋다.
2. 황토집은 기초공사가 어려우며 배수공사를 잘 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