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스크랩] 심장비대증(hypertrophy cardiac)및 심장확장증(cardiac enlargement)

정성연 2016. 8. 10. 15:33

심장비대증(hypertrophy cardiac)및 심장확장증(cardiac enlargement)

 

 

 

 

심장확장 이란 말그대로 심장이 정상보다 커지는 것을 말한다.

 

커지는것도 두가지 형태로 나누게 되는데,하나는 심장내벽의 근육이 두껍게 되는 비대증(hypertrophy)과, 심장이 확장(dilation)이 되는 것인데 여기서 확장(dilation)이란 심장안의

공간이 커진다는 뜻이다.일반적으로 각각 진행되지만 동시에 같이 일어나는경우도 있게

되겠다.

  

비대는 심방이나 심실 한곳에서 주로 진행되는데 비해 확장은 원인에 따라 한 곳뿐만 아니라 여러곳에서 진행 되기도 한다.

 

 

비대증의 원인

 

비대증(hypertropy)의 원인은 오랫동안이 심장이 무리하게 일을 하면서 일어 나게 되는데,

주로 심실(ventricle)에서 일어난다..

 

심실은 심방 밑에 위치하고 있는데, 우심실과 좌심실로 나누어지게 된다, 우심실은 피를 폐로 보내서 이산화탄소와 산소을 교환하게 하는 역활을 하고, 좌심실은 신선한 피를 동맥을 통해 우리몸 전체로 내보내는 역활을 한다.

 

가장 대표적인 원인이 고혈압이 되겠는데 혈압이 높다는 뜻은 혈관내벽을 치는 힘이 높다는 뜻이 되고 또한 혈류의 저항도 높다는 뜻이 되게 된다 .그만큼 피의 저항이 높기에 그것에 맞추기 위해 좌심실이 늘 무리하게 일을 한다는 뜻이 된다.

 

그만큼 수축(contraction)하는 힘이 늘 정상보다 높게 되다보니 자연스레 왼쪽 심실을 구성

하는 심장근육이 두꺼워 지고 비대해 지게 되겠다. 우리가 역기를 들며 체력운동을 하면 근육이 단단해 지듯, 심실도 오랫동안 과도 하게 일을 하면 주변 근육이 두껍게 변하게 된다.

 

좌심실비대증(왼쪽심실비대증-left ventricular hyperthrophy(LVH))의 가장 큰원인은 고혈압이며, 그다음 원인은 대동맥판막협착증(stenosis of aortic valve)이라 하여 비대심근증(hypertrophic cardiomyopathy-심장근육을 구성하는 섬유질을 약화시키는 유전적질환)이 가장 큰원인이 되겠는데 , 장시간에 걸쳐 섬유질이약화되며 일어나고 젊은사람들의 심장급

작사(sudden cardiac death)의 가장 큰 이유가 되겠다.

 

우심실비대증(right ventricle hypertrophy-RVH)의 원인은 폐의 일부 혈관을 손상시키고 손상 안된 혈관에 압박을 주는 폐기종(emphysema)과 낭성섬유종(cystic fibrosis) 이 되는데 산소양의 낮추게 되서 만성기관지염(chronic brochitis)과 무호흡수면증(sleeep apnea)을 일으키고 좌심실 비대증으로 발전 시키게 되며 여기에 폐동맥판막협착증(stenosis of pulmonic heart valve)과 응고물질로 야기되는 폐색전(pulmonary embolism) 과 원발성 폐고혈압증(primary pulmonary hyperension)도 원인이 되겠다.

   

 

심장확장(cardiac dilation)의 원인

 

여러원인에 의해 심장근육이 늘어나면서(stretching-out) 일어나게 되는데,

과거에 심장바비가 앓았다든지

장기간 지나친 음주를 하였다든가

심근염(심장근육염증-myocarditis)및 루퍼스병이나 임산말기에 자가면역에 이상반응

항암 약물치료(chemothreapy)

색소침착증(hemochromatosis)로 인한 체내 지나친 철분축적

과거 정신분열증 치료로 썼던 약을 복용하였을 경우

코날트나 납 수은등의 장업장에서의 노출로 인한 경우

갑상선 질환이 있을 경우

유전적인 이유로 근육발육이상(muscular dystrophy)이 있을 경우 - 체내 근육 약화가

일어나는데, 심장근육도 함께 약화가 된다.

 

 

심장판막에 이상이 있을 경우 - 판막이 꽉 닫혀지지 않으면서 피가 역류(valvular

regurgitation)가 오랜기간 있을 경우 로 좌심방(left atrium) 또는 좌심실(left ventricle)에서 주로 일어난다.

 

 

심장확장으로 인한 문제점

 

예외적으로 꾸준한 운동을 하면서 일어나는 확장(exercise-induced enlargement)은 건강에 도움이 되는 확장이지만, 그 이외 이유로 일어나는 확장은 여러가지 문제점을 일으키게 되는데,

 

심부전증(heart failure)

심박이상(irregular heart rhythms)

심증(angina)

심방마비(heart attack) 가 올수 있다.

 

증상

호흡곤란(shortness of breath)

가슴압박(chest pressure) 또는 가슴통증(chest pain)

심계항진(palpitation - 가슴이 두근거리는 자각증세)

수종(edema-발, 발목, 다리가 붓는다)

현기증(dizziness)

의식상실(loss of consciousness)

 

심장확장이 심하지 않을 경우 운동이나 힘든 작업을 할 경우에만 증상이 나타나나, 확장이

심할경우 어느 상황에서든 나타날수 있고, 심지어는 휴식을 취하는 동안에도 나타날 수 있다.

 

위에 증상은 단 심장확장 뿐만 아니라 여러 심장질환이나 폐질환에서도 유사증상이 있게

된다, 그러므로 위에 증상이 있을 경우 전문의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하는게 중요하다.

  

치료

치료전에 원인이 어디있는가를 확인하고 치료 해야 한다.

고혈압, 색소 침착증, 갑상선질환, 페색전, 모호흡수면증, 패기종, 만성기관지염, 루처스병,

염증성질환 등은 원인치료가 중요 하며 음주 ,코케인 중금석 노출 등은 가능한 사용을 피하

거나, 노출을 줄이도록 한다.

 

HIV나 정신분열증(schizophrenia)의 약에 의해 올경우 약을 대체 한다든지 복용를 계속할 경우 손익을 계산하여 결정한다.

심혈관계 질환에 원인이 되는 흡연, 고지혈증, 당뇨, 고혈압, 과체중이나 운동부족등은 생활

태도변화, 약물치료 , 때론 혈관성형술(angioplasty),혈관우회로수술(bypass surgery)과 같은 적극적인 방법으로 개선시켜야 하겠다.

  

심부전증(heart failure)비대증이나 확장증 , 모두에서 올수 있는데 여러가지 이용한 가능한 약을 통해 개선토록 한다

  

Beta blockers( 심장이 무리하게 일을 하는것을 억제시킴)

  

Ace inhibitor or Angiotensin receptor blockers (혈압을 감소시킴)

  

diuretics(이뇨제-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 하므로 혈압을 낮추고 심장에 무리를 감소시킴)

  

소금및 물의섭취량을 조절한다.

 

 

심장박동 불규칙(irregular heart rhythms)으로 올경우 여러 가지 약을 통해 조절이 가능 하나, 가장 심각한 경우는 삽입형제세동기(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을 체내에 심어 불규칙한 심장박동을 모니터 하면서 조절시켜며, 빠른 심장박동을 임의로 느리게 하기위하여는 심박조율기(pacemaker)로 이용한다.

 

확장된 심장으로 인해 피의응고 현상이 일어나기 쉬운데 응고를 줄이기 위하여는 항응고제인 warfarin( 상표명 Coumadin)을 복용한다

 

비대심근증(hypertrophic cardiomyopathy)으로 좌심실의 심장근육이 비대하여 송출장애가 일어날 경우

 

절제수술과 비절제수술을 고려할수 있는데,비절제수술은 alchol septal ablation (알콜격막

제거술)이라 하여 혈관조형술(angiogram)과 유사하여 카테타를 삽입하여 심장근육격막에

알콜을 주입하면, 비대 해진 세포들이 죽어가게된다. 이로 인해 혈류 방해를 줄이게 된다.

 

절제수술은 격막근종절제술(septial myomectomy)이라 하여 심장을 열어 비대해진 근육을 제거하는 수술이 되겠다.

 

 

출처 : 자연과 영혼들
글쓴이 : lumbriko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