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개발현황
이번주 양대 지수가 나란히 반등하며 조정장에서 완연히 벗어나는 모습이었다.
투자자들은 제약, 바이오주의 향후 전망을 관심있게 지켜보며 중국 증시의 버블 논란을 다룬 리포트도 챙겨봤다.
또한 중국 소비 모멘텀의 성장 잠재력이 충분하며 면세점 뿐만 아니라 사후면세점, 택스리펀드 업체들도 고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에 귀를 기울였다.
특히 30~100페이지가 넘는 긴 분량의 심층 분석 리포트들이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 시키며 많이 읽히는 모습이었다.
22일 FN가이드에 따르면 이번주(18~22일) 발간된 증권사 리포트 가운데 조회수가 가장 많았던 것은 동부증권의 '바이오, 신약개발 르네상스가 도래하고 있다'였다.
정보라 동부증권 연구원은 "연초 이후 제약업종 코스피 지수는 49.3%, 코스닥은 67%나 상승했는데 이는 한미약품(128940)이 릴리와 7억 달러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이후 신약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정 연구원은 "국내 바이오 기업들의 기술이전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이유는 우리나라 신약개발 전략이 과거와 달리 글로벌 시장의 요구(Needs)에 맞춰지고 있어서이며 다국적 제약사들이 성장동력 부재를 고민하며 기술도입이나 M & A에 적극적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바이로메드(084990), 신라젠, 티슈진 Inc, 지트리비앤티, 메지온(140410) 등 5개사가 올해 미국 FDA로부터 임상 3상 승인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우리나라 신약 개발 역사상 유례없는 수준"이라며 "향후 기술이전 사례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와 함께 "올해 바이오 IPO 러시가 다시 시작된다"며 제노포커스, 경보제약, 선바이오, 프로스테믹스, 바디텍메드, 펩트론, 코아스템, 다이노나, 파마리서치프로덕트, 에이티젠, 파멥신, 케어젠, 엠지메드, 아이진, 노바셀테크놀로지, 신라젠 등 바이오 IPO주들을 소개했다.
2위에는 유진투자증권의 '중국 소비주의 숨겨진 엘도라도', 3위에는 이베스트투자증권의 '위선의 가면, 주가 선행성과 버블 사이'가 올라왔다.
윤혁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중국은 전 국민의 6%만이 여권을 소지하고 있으며 최근 5년간 평균 20%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며 "2020년 중국인의 아웃바운드 관광객 수는 지난해 대비 77% 증가한 2억명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윤 연구원은 "향후에도쇼핑을 목적으로 방한하는 중국인 관광객은 늘어날 것이고 지방공항 무비자 환승관광 제도, 비자발급 간소화 등으로 중국인의 한국 방문은 좀 더 편리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사후면세점과 택스리펀드가 모르고 있었던 진정한 중국인 관광객 수혜주"라며 "올해 사후면세점 판매액은 전년대비 71% 늘어난 2조 1000억원, 택스리펀드 시장도 125% 증가한 491억원"이라며 케이티스(058860), 엘아이에스 등의 고성장을 전망했다.
정하늘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1년간 중국 상해종합지수는 약 114% 상승했다"며 "중국 증시의 상승에 대해 위선의 가면을 벗고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정 연구원은 "중국 증시가 유동성에 기인해 올라가는 측면에서는 버블 우려도 가능하겠으나 미국의 QE 정책이 내수 회복으로 이어졌던 것을 보면 중국의 통화완화정책 역시 펀더멘털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주가 선행성'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조언했다.
또한 "완화적인 통화정책 뿐만 아니라 향후 추가적인 시장 개방에 따른 유동성 공급과 MSCI 이머징지수 편입 기대감 등은 주가 상승을 견인하게 될 것"이라며 "중국 정부의 유동성 공급이 지속되는 한 중국 증시의 상승세는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4위와 5위는 제약, 바이오, 헬스케어 업종에 대한 분석이 차지했다.
김미현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미국을 중심으로 해외 제약, 바이오 섹터가 4년째 상승을 이어가고 있다"며 "국내 제약, 바이오 기업들도 대규모 기술 수출 계약 등 호재가 나오며 주가가 강세를 나타낸다"고 전했다.
김 연구원은 "대형 제약사들이 외부에서 신약 프로젝트를 수혈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라이센싱 계약금도 사상 최고치에 달하고 있다"며 "국내 제약, 바이오 기업들이 신약을 개발하여 글로벌 제휴를 체결하기에 매우 좋은 환경이 조성되는 중"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신약 프로젝트를 보유한 기업에 주목하라"며 한미약품(128940), 메디톡스(086900)를 최선호주로 제시했고 셀트리온(068270), 바이넥스(053030)도 관심주로 추천했다.
이승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한미약품(128940)이 역대 최대 규모의 기술 수출을 계약했고 셀트리온(068270),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오시밀러 개발 성과가 나오면서 헬스케어 업종의 주가 재평가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올해 역대 최대 규모의 헬스케어업종 IPO가 진행되고 추가 R & D, B2B 성과 도출도 기대되고 있다"며 "향후 삼성그룹 바이오 비즈니스 중요성 또한 부각될 것으로 보여 헬스케어 업종에 대해 '긍정적' 투자의견을 유지한다"고 전했다.
이 연구원은 "혈액제제 IVIG 미국 허가 신청이 예정돼 있는 녹십자(006280), 저해제 계열 당뇨 신약 제미글로의 국가별 허가가 기대되는 LG생명과학(068870), LAPS-Exendin 등 임상 2상 종료를 앞둔 파이프라인을 보유한 한미약품(128940), 유한킴벌리의 실적 모멘텀과 신규 성장 동력을 확보한 유한양행(000100)을 주목하라"고 권했다.
바이오 기업들의 주가가 브레이크가 고장난 자동차처럼 달리고 있다.
미국에서도 헬스케어 버블논란이 계속되며 주가가 상승하고 있고, 우리나라 바이오 주가도 내츄럴엔도텍 사건에도 불구하고 추세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바이오 주가가 왜 오를까? 정말 버블인가? 갑자기 줄이 끊어진 엘리베이터처럼 주가가 하락하지는 않을까? 일반적 상대가치 지표로 밸류에이션을 할 수 없을 만큼 무형자산(혹은 신약 파이프라인)에 대한 기대가 커져버리면서, 투자자라면 누구나 바이오 주가에 대한 고민이 깊어질 수 밖에 없는 시기라는 생각이 든다.
최근 바이오 주가 급등이 정상적이지 않다는 생각에는 동의하지만 결론적으로는 국내 바이오 주가 흐름은 추세적으로 우상향 할 것으로 예상한다. 가장 큰 이유는 15~16년 국내 신약개발 동향이 과거와는 완전히 달라졌기 때문이다. 지난 4월 바이로메드와 신라젠이 미국 FDA로부터 각각 당뇨병성 신경병증과 간암에 대한 임상 3상 승인을 받았다. 과거 LG생명과학과 동아제약, 그리고 종근당이 글로벌 파트너를 통해 미국에서 임상 3상을 진행한 경험은 있지만 국내 기업들이 직접 임상 2상을 진행하고, 3상까지 허가 받은 경우는 처음이다. 그리고 코오롱㈜의 자회사인 TissueGene Inc.가 5월 17일 올해 들어서 벌써 3번째 FDA 임상 3상 승인을 받았다. 향후 메지온과 지트리비앤티가 희귀의약품에 대해 FDA 3상을 진행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15년에는 5건 이상의 FDA 3상이 시작되는 것이다.
기술이전 역시 과거와 완전히 다른 패턴을 보이고 있다. 13년 메디톡스가 앨러간과 3억 9천만달러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한 이후 14년 말 올리패스가 BMS와 1조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하였고, 15년 3월 한미약품이 일라이 릴리와 7억달러의 계약을 발표하였다. 제넥신, 인트론바이오, 코오롱생명과학, 바이로메드 등 글로벌 임상을 진행하고 있는 바이오벤처들도 다국적 제약사들과 기술이전에 대한 논의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올해 바이오 기술이전 뉴스는 끊이지 않을 것이다.
다국적제약사들이 기존 합성신약의 특허만료로 인해 성장동력 부재에 고민하면서 본격적으로 바이오텍들과의 M&A와 기술도입에 뛰어들고 있다. 신약의 가치는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고, M&A Deal Size도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는 상황이다. 15년만 해도 5달만에 화이자와 호스피라, 애브비와 파마사이클릭 등 20조원 내외의 M&A가 있었고, 테바가 밀란에 합병을 제안하는 등 빅딜은 계속될 전망이다. 상황이 이러하다 보니 국내 신약개발 기업들의 파이프라인에 대한 프리미엄이 계속해서 올라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한다.
지금 주가 상승을 주도하는 바이오 기업들은 1세대 바이오 벤처들(2000년대 초 바이오 버블 당시의 기업들)과 신약 혹은 기술개발 전략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국적 제약사와의 공동연구, 기술이전 등 다양한 경험을 가진 Key man들이 이끄는 바이오 기업들이 만들고 있는 신약 후보물질들이 글로벌 블록버스터가 될 가능성에 주목해야 할 시점이다.
Ⅰ. 바이오 주가는 왜 오르는가 .................................................................................. 4
끊이지 않는 뉴스와 바이오 상승 랠리 ........................................................................... 4
다국적제약사들은 계속 목이 마르다 ............................................................................... 6
Ⅱ. 신약개발 르네상스! ............................................................................................... 10
우리나라 신약개발, Jackpot이 터질 것인가 .............................................................. 10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할 신약개발 프로젝트 ........................................................... 13
메지온; 15년 하반기‘폰탄수술 치료제’3상 승인 ................................................... 14
바이로메드; 국내 유전자 치료제 선두 기업 ............................................................. 15
코오롱생명과학; 퇴행성관절염 치료제, 포텐이 터진다 .......................................... 17
지트리비앤티; 니치버스터를 꿈꾸는 안과 신약 개발 중 ....................................... 18
제넥신; 또 다른 유전자 신약 개발 중인 바이오 벤처 ........................................... 20
인트론바이오;‘리신’이라는 새로운 컨셉의 신약에 도전 ........................................ 22
Ⅲ. 15년에는 바이오 IPO 주목 ................................................................................ 24
다시 시작되는 바이오 IPO Rush .................................................................................... 24
Ⅳ. Coverage Recommendation.............................................................................................26
코오롱생명과학(102940)......................................................................................................26

권미란 기자 kmira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