곁순치기
1. 오이순지르기(오이곁순제거)
- 원줄기 위주로 키우는게 재배하기 쉽다.
- 다섯마디 이전의 오이곁순 및 오이꽃을 모두 제거한다.
단, 오이잎은 나중에 시들면 따준다.
- 오이잎수가 5~7마디로 자랐을때에 곁순제거를 해준다.
- 마디가 자라며 곁순이 나온다고 그때그때마다
곁순을 제거하지 말고 5~7마디로 성장했을때 곁순을 제거한다
- 5마디 이후부터는 각 곁순에서 자란 아들줄기에서
오이 1-2개를 키운후, 오이를 수확하면 아들줄기를 잘라준다.
▼ 5마디까지 곁순을 제거한 오이
2. 토마토 곁순제거
- 첫화방이 결실될때 토마토의 곁순을 제거해준다.
- 첫꽃이 열매가 되지 못했을때는 곁순제거를 늦춘다.
- 원줄기 중심으로 다른 곁순을 모두 제거해준다. 원줄기만 기른다.
- 일반토마토는 4번째 화방이 달리면 위의 잎 두장을 남기고
원줄기를 잘라낸다.
- 방울토마토는 7번째 화방이 달리면 원줄기를 적심하는데
역시 화방 위의 잎 2장은 남긴다.
- 화방에서 꽃핀후 수정이 되면 50일후 빨갛게 익는다.
첫화방의 토마토가 빨갛게 되는시기는 6월말 7월초이다.
- 일반토마토 꽃은 4-5개만 남기고 꽃을 따준다.
- 방울토마토의 꽃도 끝부분의 화방을 잘라준다.
▼ 곁순제거 전의 토마토
빨간원으로 표시 된것이 토마토곁순이다. 2개의 곁순이 보인다.
제거한다. 파란원으로 표시된것이 첫화방이 달린 원줄기이다.
▼ 굵어진 곁순을 가위로 잘라준다.
▼ 곁순을 제거한 토마토
3. 고추 가지정리, 고추곁순제거 - "방아다리" 제거
방아다리란? - 고추는 가지가 갈라지는 곳에서 열매가 달린다.
- 맨처음 줄기가 두개~세개로 갈라지는 곳을
"1차분지" 라 하며, 이곳에 달린 고추를 방아다리라 한다.
- 이 방아다리를 제거해주고, 방아다리 아래의 곁가지를 모두 제거해준다.
- 방아다리 아래의 고추잎은 장마 전에 따주면 된다.
▼ Y자로 갈라지는 곳에 고추가 달렸다. 2개나 달렸다. 방아다리다
방아다리를 따주면 된다. 손으로 약간 비틀면 쉽게 따진다.
▼ 방아다리를 따주었다. 위에서 본 모습이다.
▼ 방아다리 제거된 모습
▼ 방아다리 위의 2차분지에서 고추꽃이 피었다. 고추 달리면 키우면 된다.
◆ 다음은 방아다리 아래의, 고추잎과 줄기 사이에 나온 곁순을 제거한다.
주말농장이나 텃밭에선 방아다리 아래를 모두 훝지말고 우선 곁순만
제거해준다. 방아다리 아래의 곁순만 제거해 주고, 고추잎은 남겨두었다.
고추가 좀더 자란후 장마철이 오기전에 고추잎을 따 주면 된다.
고추 농사를 많이 짓는 경우엔, 2번 일하는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해
방아다리를 제거하면서, 곁순과 고추잎을, 한번에 훝듯이 모조리 따주기도
한다. 그러면 방아다리 아래는 고추줄기만 남게된다.
방아다리 아래의 곁순을 제거해 주어야, 장마철에 빗방울에 의해
흙에서 튀어, 고추잎에 묻어 전염되는 탄저병균의 오염을 막을 수 있다.
▼ 곁순을 제거하기 전의 고추 모습
▼ 고추곁순만 제거하고 고추잎은 남겨 두었다.
4. 가지 곁순제거
- 첫번째 꽃이 달리면, 그 아래의 2개의 곁순만 남기고,
나머지 곁순은 제거해준다.
- 가지는 곁순이 자라나 줄기가 되면 목질화(나무처럼 단단해짐)된다.
- 고추처럼 첫번째 달리는 가지(열매)를 방아다리라 하는데
초기 성장이 강하면 제거해 주기도 한다.
- 첫번째 열매가 달리는 가지(줄기)를 기준으로,
아래에서 2개의 곁순(가지줄기)을 선택해 키운다.
1번째 가지와 겹치지 않은 방향으로 자라는 곁순(가지줄기)을 선택한다.
- 3개의 가지(줄기)에서, 마찬가지로 각각의 가지 방향과 겹치지 않는
1개씩의 곁순(아들줄기)를 선택해, 모두 6개 정도의 가지(줄기)를 키운다.
5. 콩순지르기, 콩 곁순제거 - 콩적심(백태.서리태)
◆ 순지르기 하는경우, 안하는 경우
촘촘히 심었거나, 거름을 많이 주었거나, 거름이 많은 땅에 심은 경우,
장마철에 비가 많이 와서 웃자랄때 순지르기를 해준다,
생육이 왕성할땐 순지르기를 해주며
생육이 불량시에는 순지르기를 하면 수확량이 감소한다.
◆ 순지르기를 하는 이유
콩줄기를 기르기 보다 콩줄기의 갯수를 늘려 수확을 많게 해준다
콩생장점을 잘라주면 가지수가 늘어난다.
곁가지의 왕성한 생육을 유도하여 많은 꼬투리를 얻고, 도복(쓰러짐)방지로
수량증대 효과가 있다.
마디수를 늘리면 마디간격이 좁아지고 키도 낮아져
수확량을 늘리고 쓰러짐도 방지한다.
◆ 콩순지르기 방법
1차 순지르기 - 본잎이 5 ~ 7매 나왔을때 5매를 남기고,
생장점(맨위의 꼭지점)을 잘라준다
2차 순지르기 - 4개정도의 줄기가 나왔을때 각 줄기의 생장점을 잘라준다.
◆ 콩순지르기(콩적심)란?
콩 본잎이 5-7매 나오면, 5매만 남기고 콩 생장점을 따 주는것을
콩순지르기(콩적심)라고 한다. 가위를 이용하거나, 손으로 따주면 된다.
콩순지르기 하는 이유는 콩의 웃자람을 방지하여, 장마철에 콩줄기가 쓰러지는것을 방지하고, 콩줄기의 가지수를 늘려, 콩 수확을 많게 하기 위함이다. 수백평, 수천평의 콩농사를 지을때, 콩순지르기는 예초기를 이용하거나
낫으로 베어 버리기도 한다.
◆ 콩적심은 콩이 지나치게 웃자라서 도복(쓰러잠)이 우려될 경우, 콩 본잎이 5-7매 나왔을때, 개화기 이전에 해준다. 콩의 생장점을 제거해준다.
콩 순지르기는 반드시 거쳐야 할 단계는 아니며, 밀식, 다비, 잦은강우등
웃자라서 콩이 쓰러질 염려가 있을때만 해야되며, 개화기 이후에 늦게 하거나, 콩의 생육이 부진할때는 콩순지르기의 효과가 없다.
▼ 빨간 원안에 콩의 생장점이 보인다.
▼ 가위나 손으로 따준다.
▼ 콩의 생장점이 제거되었다.
6. 참외 곁순제거
(1) 본잎이 5장 나왔을때 원줄기를 적심한다.
(2) 원줄기 마디에서 나온 곁순이 자라면 아들줄기가 된다.
원줄기에서 1번, 2번째 곁순을 제거하고
원줄기에서 3, 4, 5번째 곁순을 아들줄기로 키운다.
아들줄기를 3개~4개 키우면 된다.
아들줄기에서 나오는 곁순은 1~4번째까지는 잘라내고,
5 - 8번 곁순을 키운다.
8번째 잎이 나오면 각각의 아들줄기도 적심(순지르기)한다.
아들줄기의 곁순을 키우면 손자줄기가 된다.
손자줄기를 3개 키운다.
(3) 손자줄기는, 1 ~ 3번째 곁순은 제거하고,
3번째 위의 곁순에서 참외가 달리면, 참외열매 위에 잎 3장만 남기고
손자줄기도 순지르기하며, 곁순이 나오거나 꽃이피면 바로 제거해준다.
(4) 참외는 손자 줄기에서 달린다.
이따금 아들줄기에서도 암꽃이 피고 열매가 달리기도 한다.
꽃이피고 열매가 달리면 바로 제거한다.
손자줄기 하나에 참외는 1개가 달리게 키운다.
손자줄기를 3개를 키우면, 참외는 9개에서 12개정도 달린다.
(아들줄기 3 * 손자줄기 3 = 9개 또는 아들줄기 4 * 손자줄기 3 = 12개)
참외는 오이와는 달리 원줄기(어미덩굴)와 아들줄기(아들덩굴)에는 대부분 수꽃만 피고, 암꽃은 손자줄기(손자덩굴)에 핀다.
암꽃에서 참외가 열리니, 결국 참외는 손자줄기에서 달리게 된다.
▲ 어미줄기--
보통 본잎이 5장 나왔을때 원순을 적심한다.
그러면 덩굴 마다마디에서 곁순(아들줄기)이 나오는데
1번, 2번 곁순(아들줄기)을 제거하고 3,4,5번 곁순(아들줄기)을 키운다.
▲ 아들줄기--
1~4번째 곁순(손자줄기)은 제거하고, 8번째 잎이 나오면 적심한다.
5~8번 곁순(손자줄기)을 3~4개를 키운다.
▲ 손자줄기-- (※ 열매는 손자 줄기에서 달린다.!!)
이따금 아들줄기에서도 암꽃이 피고 열매가 달리기도 한다.. 제거~~~~~~~~~!!
우선 3번째 마디까지 발생하는 곁순은 제거하고, 과실이 달리면 그 위의 잎
3장 정도만 남기고 순지르기 하고, 곁순은 나오는 족족 제거한다.
(열매는 하나만 키움)
▲ 어미줄기,아들줄기,손자줄기를 한 그림으로 나타낸 것이다..
참외는 오이와는 달리 어미덩굴과 아들덩굴에는 대부분 수꽃만 피고,
암꽃은 손자덩굴에 핀다.
이론적으로 한주(그루)에 9개~12개의 열매를 수확한다..
참외 순지르기는 일회성으로 끝나는 일이 아니고, 순이 자라나오는 것을 늘 살펴서
적당한 시기를 놓치지 않고 반복해야 하고, 또 포기마다 성장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짬이 날 때마다 챙기지 않으면 시기를 놓쳐 버리고 만다.
7. 수박 곁순제거
본잎이 4장정도 나오면 원줄기(어미줄기)를 자르고
아들줄기중에서 생육이 왕성한 2개정도만 남기며
아들줄기의 15~ 20마디의 꽃에서 수박을 달리게 한다.
아들줄기 하나에 수박 1개을 키우니 수박모종 하나에 2개의 수박을
수확한다. 아들줄기에 수박이 달리면, 수박잎 면수 확보를 위해
손자줄기가 나와도 자르지 않는다. 열매와 꽃은 따준다.
수박 한통이 여물려면 수박잎 50개정도 필요하다.
수박은 꽃 핀후 50일후에 수확한다.
▼ 수박 곁순제거후 아들줄기 2개가 성장한다.
8. 옥수수 곁순제거
옥수수 곁순은 옥수수 밑둥부분에서 올라온다.
옥수수 원줄기는 가운데에 자리 잡고, 굵고 튼실한데, 곁가지는 가늘고,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난다.
▼ 가운데 굵은, 옥수수 줄기 양 옆으로 자라고 있는것이 곁순이다.